“‘송도기행첩’, 강세황 작품 아니다”, 미술사학자 이태호 교수 주장

도재기 기자

이 명지대 석좌교수, <월간 민화>에 글 게재

“근거 어디서도 못찾아, 나에게도 큰 충격”

향후 전문가들 반응 주목···“면밀한 논문으로 나와야 논의될 문제”

미술사학자인 이태호 명지대 석좌교수가 표암 강세황의 대표 화첩인 <송도기행첩>이 표암의 작품이 아니라는 주장을 제기했다. 사진은 <송도기행첩>에 수록된 작품 ‘영통동구’(영통동 입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월간 민화 제공

미술사학자인 이태호 명지대 석좌교수가 표암 강세황의 대표 화첩인 <송도기행첩>이 표암의 작품이 아니라는 주장을 제기했다. 사진은 <송도기행첩>에 수록된 작품 ‘영통동구’(영통동 입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월간 민화 제공

조선 후기의 대표 문인화가이자 단원 김홍도의 스승인 표암 강세황(1713~1791)의 걸작 화첩인 <송도기행첩>(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이 표암의 작품이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술사학자인 이태호 명지대 석좌교수(다산숲아카데미 원장)는 최근 발간된 월간지 ‘월간 민화’(8월호)에 쓴 ‘송도기행첩, 과연 강세황이 그렸을까?’에서 “관련 자료들을 전면 뒤졌으나 표암의 작품으로 확정할 근거를 찾지 못했다”며 “표암의 그림이 아니라는 결론을 냈다”고 밝혔다.

이 석좌교수는 1일 “표암의 그림이 아니라는 결론을 확인하는 과정이 나에게도 크나큰 충격이었다”며 “앞으로 면밀한 연구가 더 진행돼야 하겠지만, 지금으로선 표암 작품이 아니라는 게 결론”이라고 말했다. 교과서에 언급될 정도로 한국미술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표암의 대표작 <송도기행첩>에 대한 이 교수의 문제 제기가 미술사학계, 전문가들에게 어떤 파장과 반응을 낳을 지 주목된다.

이 교수는 <송도기행첩>이 표암의 그림이 아니라는 근거로 우선 “<송도기행첩>이나 표암의 문집인 <표암유고> 등 그 어디에도 표암의 작품이라는 관련 근거가 전혀 없다”고 밝혔다. 혜곡 최순우 전 중앙박물관장이 1970년 <송도기행첩>을 처음 학계에 소개한 이후 자신을 포함해 모두가 당연히 표암 작품으로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는 “<송도기행첩> 관련 연구는 많았지만 정작 <송도기행첩>을 누가 그렸는지 작가에 관련한 재검토는 없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표암이 쓴 것으로 알려진 화첩의 후기에도 낙관이 없다. 또 (후기가) 표암의 개성적 서체나 품새와도 다르다”며 “낙관이 찍혀 있어야 할 자리의 종이가 오려내진 상황에서 표암의 작품으로 둔갑한 셈”이라고 말했다. 그는 “후기 내용 중 ‘화공의 그림’(畵工之畵)이라는 표현도 <송도기행첩>이 표암의 작품이라는 데에 의구심을 갖게 한다”고 덧붙였다.

<송도기행첩>의 후기(왼쪽)와 후기의 끝부분의 낙관이 찍혀 있어야 할 자리의 종이가 오려져 나가 없어진 상태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월간 민화 제공

<송도기행첩>의 후기(왼쪽)와 후기의 끝부분의 낙관이 찍혀 있어야 할 자리의 종이가 오려져 나가 없어진 상태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월간 민화 제공

이 교수는 “화첩에 표암의 낙관이 찍힌 글은 7언시가 유일하다”며 “이 시도 자작시가 아니라 조선 초기 문인 박은의 시 일부를 적은 것으로, 자작시를 쓰는 당시 상식이나 관례와 크게 다르다”고 말했다. 그는 “비록 낙관은 없지만 ‘영통동구’ 등 일부 지명(작품명)은 표암의 글씨가 확실하다”며 “부탁을 받고 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화풍에 있어서도 <송도기행첩> 그림들은 대체로 짙고 옅은 먹선들이 윤기가 나는 등 표암의 다른 작품에 나타나는 산수화풍과 거리가 먼 점들이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외에도 <송도기행첩>의 표지명이 송도 그림들과 관련이 없이 생뚱맞게 ‘표암선생 유적’(豹菴先生遺積)이란 점, 낡은 표지와 달리 화첩 내부는 깨끗하다는 점 등도 지적했다.

표암 강세황의 걸작 화첩인 <송도기행첩>의 표지는 ‘표암선생유적’으로 돼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월간 민화 제공

표암 강세황의 걸작 화첩인 <송도기행첩>의 표지는 ‘표암선생유적’으로 돼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월간 민화 제공

이 교수는 <송도기행첩> 작가가 표암이 아니라면, “당시 개성 유수로 <송도기행첩>을 주관한 오수채의 작품이거나, 개성에 파견된 도화서 화원의 작품”으로 추정한다. 그는 특히 “보물로 지정돼 있는 ‘해동지도’(규장각 소장)의 화법이 <송도기행첩> 화법과 유사한 점들이 있어 ‘해동지도’를 그린 화가와 <송도기행첩> 작가가 연관 있거나 동일인일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이 교수의 견해에 대해 미술사학자들은 이날 “표암의 전 작품을 관통하는 화풍 등으로 볼 때 <송도기행첩>이 표암의 작품이란 근거도 많다. 이 교수가 제시한 근거만으로는 많이 부족해 보인다”며 “보다 면밀하게 논증한 논문으로 나오길 기대한다. 논문이 나와야 논의해 볼 문제”라고 밝혔다.

<송도기행첩>은 표암이 45세이던 1757년 여름철에 송도(개성) 유수인 친구 오수채의 초청을 받아 개성 일대를 여행하고 그린 그림 16점과 후기 등 글 3건으로 구성된 화첩이다. 특히 화첩 속의 그림 ‘영통동구’(영통동 입구)나 ‘태종대’ ‘백석담’ 등은 음양·원근 등 서양화법을 전통 문인화에 도입한 것으로 유명하다. <송도기행첩>은 한국미술사의 주요 사료이자, 국립중앙박물관의‘우리 유물 100선’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송도기행첩>에 수록된 그림으로 박연폭포를 그린 ‘박연’(왼쪽)과 ‘백석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월간 민화 제공

<송도기행첩>에 수록된 그림으로 박연폭포를 그린 ‘박연’(왼쪽)과 ‘백석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월간 민화 제공


Today`s HOT
파리 뇌 연구소 앞 동물실험 반대 시위 앤잭데이 행진하는 호주 노병들 기마경찰과 대치한 택사스대 학생들 케냐 나이로비 폭우로 홍수
황폐해진 칸 유니스 최정, 통산 468호 홈런 신기록!
경찰과 충돌하는 볼리비아 교사 시위대 아르메니아 대학살 109주년
개전 200일, 침묵시위 지진에 기울어진 대만 호텔 가자지구 억류 인질 석방하라 중국 선저우 18호 우주비행사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