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TV토론 ‘돈안드는 선거’ 토대 만들었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TV토론 ‘돈안드는 선거’ 토대 만들었다

입력 2002.12.16 18:24

  • 최우규 논설위원

올 대선후보 TV 합동토론은 ‘미디어 선거’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돈 안드는 선거의 토대를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물론 기계적 운영이나 이슈 선정의 부적절성으로 아쉬움도 남겼다.

이번 TV토론을 통해 선거운동의 무게중심이 조직과 자금으로 동원하던 군중집회에서 미디어 쪽으로 옮겨가고 있음을 보여줬다. 1997년 15대 대선에서 TV토론의 중요성을 실감한 각 대선캠프는 토론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안간힘을 썼다. 이번에도 각 당 후보들은 토론을 위해 전날과 당일에는 다른 유세일정을 전면취소하고 토론을 준비했다. TV토론이 대선의 상수(常數)가 됐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TV토론은 군중집회 못지않은 위력을 갖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가다. 조직을 통해 동원한 군중집회는 ‘준비된 지지자들’이라는 데 한계를 갖고 있다. 반면 TV토론은 안방에서 각 후보들의 정책과 이념을 편하게 비교해볼 수 있게 했다. 정당에 대해 관심이 적거나 없는 부동층의 주목을 끌었다.

실제로 세과시를 위해 벌어졌던 정당연설회는 퇴조했다. 각 당의 정당·후보자 연설회는 20여회 안팎에 그쳤다. 한 후보에게 허용된 연설회 315회의 1% 미만이다. 덕분에 선거 비용도 과거 ‘수조원’대에서 격감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조직과 자금에서 열세를 면치 못하는 군소정당에 ‘기회’를 준 점도 긍정적 측면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TV토론의 모든 후보에게 1분~1분30초의 발언 기회만 주는 ‘기계적 형평성’은 문제점으로 떠올랐다. 관련사항에 대해 모두 거론하는 ‘백화점식 토론’ 방법도 개선돼야 할 부분이다. 가톨릭대 김만흠 교수(정외과)는 “모든 유권자들이 후보의 공약과 이념 등 모든 부분에 대해 관심을 가진 것은 아니다”라며 “선거의 핵심쟁점을 좀더 심도있게 짚을 수 있는 토론 기회를 줬어야 했다”고 말했다. 특히 정치분야의 경우 특정사항은 시간을 더 넉넉히 줘 집중토론을 벌여야 했다는 것이다.

토론 횟수도 현행 3회보다는 늘려야 한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또 무산되기는 했지만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 민주당 노무현(盧武鉉) 후보간 ‘행정수도 이전’ 토론회 같은 1대 1 토론도 있어야 한다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최우규기자 banco@kyunghyang.com〉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