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하게 후비면 염증·난청 유발
종종 속을 썩이는 것이 귀지다. 내버려두자니 지저분하고, 제거하자니 혼자서는 쉽지 않다. 무리하게 후비다가는 고막까지 버릴 수 있다. 대전선병원 이비인후과 김영선 과장의 도움말로 귀지 관리요령을 알아본다.

귀지가 크고 단단하면 미리 용액으로 녹인 후 세척할 수 있다. 차가운 상태에서 녹이는 용액을 주입하면 현기증을 일으킬 수 있어 체온과 같은 온도로 사용한다. 세척한 후에는 귓속을 잘 관찰해 잔여물을 제거하고 면봉을 이용해 말린다. 하지만 고막천공이나 중이염이 있으면 세척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귀에 이물증세가 있거나 귀 폐쇄증세가 있고, 귀에서 냄새가 날 때는 병원에서 안전하게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상적인 귀에는 물이 들어간 것 자체가 염증의 원인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 귀지가 많은 사람이나 만성 중이염 환자의 경우 귀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조심해야 한다. 알코올이나 과산화수소수 등 소독액을 묻혀 귀지를 파내는 게 좋다. 드물게는 고막에 상처가 나면 난청·현기증·구토 등 증상이 나타나므로 즉시 병원에 가야 한다. 피가 나는 경우 대부분은 외이도의 상처인데 이럴 때는 절대로 귀를 씻지 않은 채 병원을 찾아야 한다.
개미같은 곤충이 들어가는 경우 알코올이나 참기름을 넣어 곤충을 죽인 뒤 치료를 받는다. 모래가 귀에 들어가면 면봉만으로 제거하기 힘들다. 외이도에 상처가 나기 쉬우므로 반드시 병원을 찾아가야 한다.
〈전병역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