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진보당의 19대 총선 비례대표 후보를 뽑는 경선에서 선거인명부보다 많은 투표용지가 들어 있는 투표함이 발견되는 등 ‘부정 경선’이 확인된 것으로 알려졌다.
선거 조작 의심을 받는 옛 민주노동당계 출신들이 비례대표 후보로 선출되는 과정에서 벌어진 부정투표를 두고 책임론이 제기되고, 공당으로서의 존립과 신뢰도 심각한 위기상황에 처할 것으로 보인다.
통합진보당은 1일 “19대 총선 직후 진상조사위원회가 해온 진상조사 결과를 2일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당에서는 온라인투표 조사를 위한 전산 데이터 검증에 시간이 더 필요해 4일로 발표 시점을 늦추는 방안을 논의했으나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우위영 대변인은 “당 안팎의 불필요한 오해와 우려를 막기 위해 최대한 빨리 발표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11일부터 시작된 진상조사위 조사 결과 지난 3월18일 비례대표 후보 선출 때 당 선관위가 투표함을 무효화한 투표소 7곳에서는 선거인명부보다 투표자 숫자가 더 많거나, 명부 이름과 투표자 이름이 다른 경우가 발견됐다. 투표함을 들고 옮겨다니며 현장투표를 하는 과정에서 제기된 부정투표나 대리투표 의혹이 일부 사실로 확인된 것이다. 온라인투표의 소스코드 열람 경위도 조사 발표에 담겼다.
당시 온라인투표에서 5212표를 얻어 여성 부문 1위에 올랐던 오옥만 후보(국민참여당계)는 현장투표에서 71표에 그쳐 온라인투표 4917표, 현장투표 520표를 얻은 윤금순 후보(민주노동당계)에게 역전됐다. 윤 후보는 비례대표 1번이 돼 당선됐다. 당시 현장투표에선 부정선거 의혹이 나왔고, 남자 비례대표 후보와 청년 비례대표 후보 선출과정에서도 비슷한 의혹이 제기됐다. 당 관계자는 “제기됐던 의혹들은 많은 부분 사실로 확인된 것으로 안다”며 “관련자 문책 등 사후 조치는 당 대표단이 사과 후에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 일각에선 경선 순위를 바꿀 정도는 아니었다는 관측도 내놓지만, 부정선거가 확인된 파장은 매우 클 것으로 보인다.
이정희·유시민·심상정·조준호 공동대표는 1일 심야 긴급회의를 열고 2일 조사결과 발표 후 당이 내놓을 조치들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