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베테랑 장사꾼들도 매출은 괜찮다지만 과당경쟁에 지쳐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베테랑 장사꾼들도 매출은 괜찮다지만 과당경쟁에 지쳐

입력 2012.08.02 22:02

영업이익률 지속 하락에 “장사가 예전 같지가 않아”

5년 미만 초보 장사꾼은 상당수가 투자비 못 건져

장사에는 왕도가 없다. 세계적 불황이 전 산업을 위축시킨 요즘 같은 때는 더 그렇다. 연차가 쌓인 장사 ‘고수’들과 창업 5년 미만의 ‘신참’들 간에는 현재 놓여 있는 처지는 물론 상황인식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생각이 달랐다.

경력 15년 이상의 ‘베테랑 장사꾼’들은 이미 단골층이 확실하게 형성돼 있다. 그 덕분에 매출부진으로 고민하는 비율은 37%에 그쳤다. 전체 자영업자 중 평균 절반 이상(54.7%)이 평소보다 매출이 나오지 않아 걱정하고 있는 것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양호한 편이다.

[자영업자, 벼랑에 서다]베테랑 장사꾼들도 매출은 괜찮다지만 과당경쟁에 지쳐

그러나 경쟁에 대한 피로감은 컸다. 이들 15년차 이상 사장은 27.1%가 현 시장이 과당경쟁이라고 봤다. 이는 전체 평균(14.3%)보다 월등히 높은 응답 비율이다. 이같이 느끼는 이유는 장사를 해도 예전보다 남지 않는 탓이다. 영업이익률이 하락하면서 삶의 질을 악화시킨 셈이다.

15년차 이상된 사장들은 월평균 1675만원의 매출을 올린다. 전체 자영업자 평균치(1475만원)보다 14% 정도 많은 금액이다. 반면 실수입은 상황이 다르다. 이들의 월평균 수입은 234만원이다. 수익률은 14%. 평균(15%)에 못 미치고 10년차 미만(15%)이나 10~15년차(18%)보다 적다. 신참인 5년 미만의 13.6%와 비슷한 수준이다.

고수들을 힘들게 하는 이유는 장사하는 데 들어가는 제반비용이 증가하는 것이다. 특히 재료비 부담이 커졌다. 월 원자재 비용으로 평균 매출의 76.4%인 1100만원 정도를 썼다. 자영업 평균치(74.4%)보다 다소 높다. 인건비 지출도 매출의 6.5%로 평균(5.6%)보다 많다. 금융비에 대한 부담도 15년차 이상의 자영업자 중 13%가 느끼고 있어 전체 평균(8%)보다 많았다.

1990년대 중반에 가게 문을 연 이들은 창업 당시 투자비(평균 5470만원)가 2007년 이후 장사를 시작한 5년차 미만 점주들(평균 7760만원)보다 훨씬 적게 들었다. 그러나 자금 조달 사정은 좋지 않았다. 15년 이상은 필요 자금의 평균 2115만원을 대출로 마련했다.

[자영업자, 벼랑에 서다]베테랑 장사꾼들도 매출은 괜찮다지만 과당경쟁에 지쳐

특히 미등록 대부업체, 즉 사채 비율이 높다. 이들은 평균 157만원씩 사채를 빌렸다. 전체 대출금의 7.4%다. 전체 자영업자가 평균 약 37만원, 1.4%씩 빌리는 데 비해 4배나 된다. 이 때문에 대출 원리금을 갚은 비율이 절반 이상(56.8%)이나 되는데도 이자를 갚으려 돌려막기용 대출을 한 주인이 5.4%나 된다.

오랫동안 장사를 하면서 뒷심이 생길 법도 하나 불황을 보는 시각은 가장 비관적이다.

자체 노력으로 현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다거나 정부 정책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희망도 적었다. 15년차가 넘는 점주 중 52.9%가 폐업을 생각해 봤다고 했다. 매출이 잘 나오지 않을 때 새로운 장사 방식을 찾지 못하고 안주하는 경향도 컸다.

5년 미만 ‘신참 장사꾼’의 상황은 지난하다. 이들은 버티기조차 힘든 상태이다. 창업할 때 평균 9666만원을 썼다. 전체 자영업자 평균(7760만원)보다 25%나 더 들었다. 매출이 잘 나오지 않는 가게가 많아 투자비 회수도 쉽지가 않다.

이들은 월평균 남기는 돈이 160만원뿐이다. 전체 평균(225만원)의 3분의 2 수준이다. 장사가 안되면 자구노력으로 벗어나기 위해 노력은 끝까지 한다. 매출이 적은 신참 중 22%만이 손을 놓고 있다. 10~15년차는 35%, 15년차 이상은 31%가 막연하게 상황을 보고 있는 것과는 다르다. 40%는 전단지나 홍보물을 돌려보지만 효과는 좋지 않아 보인다.

■ 특별취재팀 홍재원·김보미(산업부), 이재덕(경제부), 이혜인(사회부) 기자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