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 장사가 남는 장사라고? ‘장수하는 맛집’ 3.8%에 불과
‘먹는 장사’는 ‘남는 장사’라고 했다. 식당은 사업을 해보려는 예비 창업자들이 가장 쉽게 떠올리는 종목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실은 장밋빛 희망과 거리가 멀었다.
경향신문이 중소기업중앙회와 종사자 수 5인 미만 소상공인·자영업자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음식점은 다른 업종보다 사업 유지 기간이 가장 짧았다. 조사 대상 자영업체 300곳 중 음식업 133곳의 평균 운영 기간은 8년이다. 이는 전 업종 평균(10년)보다 2년 정도 짧다. 장수 맛집이 나오기는 더욱 쉽지 않다. 1990년 이전 문을 열어 현재까지 장사를 하는 음식점은 3.8%에 불과했다. 경력 20년 이상인 자영업자 평균 비율(7%)의 절반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2일 서울 중구 만리동의 한 상가에 셔터문이 내려진 채 임대문의 안내문이 붙어 있다. | 강윤중 기자 yaja@kyunghyang.com
▲ 음식점 운영 기간 평균 8년
휴일 적고 노동시간은 길어
전 가족 일해도 월 174만원
일하는 시간은 길고 쉬는 날은 적어 노동조건은 열악했다.
음식업 종사자들은 하루 평균 약 13시간을 일한다. 오전 9시쯤 문을 열어 오후 10시쯤 닫는다. 자영업종 중 퇴근 시간이 가장 늦다. 한 달 중에 쉬는 날은 평균 1.6일뿐이다. 특히 절반(50.4%)은 아예 쉬지 않는다. 전 업종을 기준으로 휴일 없이 일하는 비율이 평균 35% 정도인데 음식업은 월등히 많은 셈이다.
식당은 업종 특성상 인력이 많이 필요하다. 이번 조사를 보면 가게당 평균 2.02명이 일하고 있다. 평균(1.94명)보다 많다. 사람은 필요한데 인건비가 부담스러워 가족이 동원되는 비율도 높다. 식당 한 곳에는 평균 0.94명의 가족 종사자가 일하고 있다. 소상공인 업장에 평균 0.81명의 가족이 투입되는 것보다 많다.
 자영업자, 자영업을 말하다](https://img.khan.co.kr/news/2012/08/02/l_2012080301000284400023104.jpg)
이 같은 이유 때문인지 전체 식당의 31.6%가 가족 간 불화를 경험했다. 이렇게 일해도 손에 쥐는 실제 수입은 적다. 먹는 장사를 해서 월평균 889만5000원의 매출을 낸다. 재료비·인건비·임대료 등 운영비를 빼고 나면 식당 한 곳당 평균 한 달에 174만3000원을 남긴다. 가족 2명이 함께 일한다고 봤을 때는 1인 평균으로 따지면 87만원꼴로, 사실상 ‘88만원 세대’로 불려도 어색하지 않을 정도였다. 가게 중 적자를 보는 비율도 평균(10%)보다 많은 12.8% 수준이다. 적자 식당은 월평균 119만원씩 손해를 봤다.
남는 게 적으니 저축할 여유도 많지 않다. 음식업은 133곳의 18.8%만이 매달 돈을 모은다. 전체 평균(22.7%)을 밑도는 수치다.
음식점을 창업할 때 평균 8166만9000원이 드는데 이 중 35%(2871만8000원)는 대출로 충당한다. 대출 비중이 높은 편이지만 장사를 하면서 원리금을 갚는 주인은 많지 않다. 식당 문을 열 때 대출받은 자금 중 원리금을 모두 갚은 곳은 28%에 불과하다. 자영업자 중 원리금을 다 갚은 전체 평균(31.6%)보다 적다.
현재 음식점의 가장 큰 고민거리는 매출이다. 10곳 중 6곳(62.4%)은 매출부진이 심해 경영에 버겁다고 했다. 식당이 우후죽순처럼 늘면서 과당 경쟁(22.9%)도 어려움으로 지적됐다. 힘든 상황 탓에 문을 닫을까 고려해본 경우(48.1%)도 다른 업종(전체 평균 45.3%)보다 많았다.
 자영업자, 자영업을 말하다](https://img.khan.co.kr/news/2012/08/02/l_201208030100028440002310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