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감세’로 9월 월급봉투 실제 늘어나는 액수 얼마?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감세’로 9월 월급봉투 실제 늘어나는 액수 얼마?

  • 디지털뉴스팀

기획재정부가 새로운 간이세액표를 12일 공개했다. 간이세액표는 근로자의 소득과 부양가족 수에 따라 월급에서 원천징수되는 근로소득세액을 표로 만든 것이다. 이번 새 간이세액표 공개는 지난 11일 정부가 월급에서 미리 떼는 근로소득세를 평균 10% 인하하기로 한 ‘2차 재정지원 강화대책’의 후속 조치다.

새 간이세액표에 따르면 1~8월에 더 걷은 세금도 원칙적으로 9월에 소급해 돌려준다. 평균 감소율이 10% 수준이라 평균적으로는 1~8월 소급분을 9월에 원천징수할 세액에서 모두 차감할 수 있다. 가구원 수, 급여액 등 개인 차이에 따라 원천징수액 감소율은 달라진다.

월 급여가 300만원인 3인 가구는 4만7560원에서 3만2490원으로 감소율이 32%다. 월 차액이 1만5070원, 8개월치는 12만560원이 되고 9·10월은 물론 11월에도 소득세를 내지 않고 12월도 차감액이 생긴다.

월급 400만원(비과세소득 제외)에 전업주부인 부인과 초등학생 두 자녀와 함께 산다면 이달부터 월 11만6320원의 원천징수액을 떼고 월급을 받게 된다. 올해 1~8월 중 원천징수액이 월 14만1790원인 것과 비교하면 돈이 월 2만5470원씩 늘어나는 것이다. 또 올해 1~8월에 더 냈던 원천징수액 20만3760원(2만5470원×8개월치)도 이르면 이달 중 한꺼번에 돌려받는다.

다자녀공제를 배제한 상황에서 2인 가구 기준으로 월 급여가 300만원이면 8만8700원에서 6만9430원으로 22% 줄고, 700만원이면 74만7050원에서 70만300원으로 6% 감소한다. 이 때문에 9~12월에 소득세를 거의 내지 않아도 되는 사례가 생길 수 있다.

이번 대책에 따라 봉급생활자는 주민세 원천징수액도 줄어든다. 지방세인 ‘소득할 주민세’는 소득세 10%만큼 원천징수한다. 모수인 소득세 원천징수액 감소로 주민세 원천징수액은 물론 1~8월 초과징수분도 소득세처럼 차감하게 될 것이라고 기재부는 전했다. 정부가 소득세 원천징수 감소분을 2조원으로 추산한 점에 비춰 주민세도 2000억원 가량 될 것으로 본다.

이런 모든 예상은 원천징수의무자인 회사가 간이세액표대로 세금을 걷어왔고 개정 세액표를 바로 적용한다는 조건에서만 가능하다. 바뀐 세액표를 적용하지 않거나 전산준비 때문에 그 시기가 10월로 넘어가면 9월에는 혜택을 볼 수 없게 된다. 세액표를 바꾸려면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ERP) 등 관련 전산 프로그램을 바꾸는 시간이 걸린다. 급여나 상여금을 15일에 주는 회사라면 주말을 피해 14일에 지급하는 경우가 많은데 개정 세액표를 적용하기에는 시간이 촉박하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