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의 경우 과거 녹조 발생 지점 vs 2012년 발생 지점
자료제공:녹색연합녹조현상이란? 부영양화된 호수나 유속이 느린 하천에 녹조류가 크게 늘어나 물빛이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이다. 겨울에는 규조류, 여름철에는 남조류가 주요 원인이다. 녹조류가 퍼지면 햇빛이 차단되고 물속 산소량이 줄어들어 수생 동식물이 죽을 수 있다. 녹조류 중에는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유독성 물질을 함유하는 종도 있다.
녹조 관련 기사ㆍ칼럼
- 낙동강 창녕함안보 인근에 녹조 발생
- 낙동강 녹조, 창원시민 식수 위협
- 금강에도 녹조 발생
- 4대강 사업에 멍든 금강… 보 상류 검푸른 녹조
- 낙동강 중류에도 녹조 발생
- 낙동강 구미 지역까지 ‘유독성 남조류’ 확산
- 본격적으로 폭염 시작, 북한강에도 녹조 발생
- 폭염으로 데워진 북한강, 수도권 식수원까지 녹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