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대졸 10명중 3~4명, 취업해도 학자금 대출 못갚아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대졸 10명중 3~4명, 취업해도 학자금 대출 못갚아

입력 2012.09.24 11:33

‘취업후 학자금 상환제도’ 이용자 10명중 3~4명은 취업 후에도 학자금 대출을 갚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김재연 의원(통합진보당)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2010년부터 시행돼 올해 처음 의무 상환이 시작된 ‘취업후 학자금 상환제도(든든학자금)’의 상환실적이 58.6%에 그쳤다. 올 6월30일 기준으로 학자금 의무상환대상은 3048건 24억2800만원이지만 상환실적은 2172건 14억2300만원에 불과했다. 상환 대상자의 71.3%, 상환금액의 58.6%만 의무 대출을 상환한 것이다.

취업후 학자금 상환제도는 대학생에서 학자금을 빌려주고 취업 후 일정 소득이 발생하면 갚게 하는 제도이다. 연간 소득금액이 상환기준소득(올해 기준은 794만원)을 초과하면 의무상환이 시작된다. 의무상환액은 연간소득금액에서 상환기준소득을 뺀 금액의 20%이다.

취업후 학자금 상환제도는 시행 첫 해였던 2010년 초 11만4700명이었던 이용자가 2012년에는 24만6197명으로 대폭 늘어났다. 그러나 대졸자들의 취업난으로 취업에 따른 의무상환자 수가 예상보다 적고, 상환대상자 10명중 3~4명은 대학 재학중 빌려쓴 학자금을 제대로 갚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김재연 의원은 “제도 시행 전 우려했던 대로 학자금을 빌려주는 것은 학생들의 등록금 고통을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몇 년 미루는 불과하다”며 “청년실업이 장기화됨에 따라 정부의 재정적 부담도 급격히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정부 학자금 지원 제도의 한계가 드러난 만큼 해결책은 ‘반값 등록금’ 실시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