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문방위 ‘MBC 국감’ 파행… 김재철 사장 연이은 출장 논란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문방위 ‘MBC 국감’ 파행… 김재철 사장 연이은 출장 논란

여야 대치…서로 책임 떠넘겨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회 국정감사가 여야 대치 끝에 18일에도 파행 운영됐다. 급기야 오후에는 한선교 위원장이 국감을 진행하지 않는 데 항의해 민주통합당이 단독으로 국감을 진행하는 진풍경도 벌어졌다.

문방위는 이날 MBC 최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를 상대로 국감을 실시하고 김재철 MBC 사장에게 비공개 업무보고를 받을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날 회의는 열리지도 못했다. 새누리당이 일주일 가까이 국감이 파행한 데 대한 사과와 재발방지를 민주당 측에 요구했으나 야당은 “적반하장”이라며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 증인 채택을 요구해 종일 맞섰다. 이에 민주당 측은 오후 5시쯤 국회법을 근거로 최재천 간사가 사회권을 갖고 단독으로 국감을 진행했다.

국회법 50조 5항에 따르면 위원장이 회의 진행을 거부하면 반대당 간사가 회의를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방문진 등 피감기관장들은 적법성을 이유로 답변을 거부했다. 김재우 방문진 이사장은 전병헌 의원으로부터 “MBC 민영화가 사실이냐”는 질문을 받고 “선서도 하지 않았고, 마이크도 꺼진 상태에서 답변이 곤란하다”고 말했다.

양당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각각 기자회견을 갖고 국감 파행의 책임을 상대에게 돌렸다. 민주당 측은 “새누리당이 박근혜 후보가 표를 잃을까 두려워 국감을 파행으로 몰고 있다”며 “파행 원인은 김재철 사장과 최필립 이사장 등 핵심 인사들의 증인 채택을 거부한 새누리당의 꼼수에 있다”고 말했다.

반면 새누리당 측은 “민주당의 일방적 파행으로 11일부터 진행되지 못한 국감에 대해 사과하고 재발방지를 약속하라”며 “민주당 의원들이 국감장 대신 정수장학회에 갔는데 문재인 후보가 시킨 것이냐”고 따졌다. 민주당은 국감 진행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한선교 위원장을, 새누리당은 피감기관에 막말을 했다며 신경민 의원을 각각 윤리위에 제소하겠다고 밝혔다.

여야 위원들은 저녁 8시 비공개 업무보고를 받기 위해 MBC를 방문했으나 관계자들이 나오지 않아 보고가 무산됐다. 한편 오는 2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감 증인으로 출석할 예정이던 김재철 사장은 19일부터 일본에 출장을 다녀온 뒤 곧이어 미국 출장을 떠나기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국감을 피하기 위해 일부러 출장을 계획했다는 것이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