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헌납에 강압 없었다”…“강압 인정 안돼” 박근혜, 회견 끝난 후 번복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헌납에 강압 없었다”…“강압 인정 안돼” 박근혜, 회견 끝난 후 번복

“법원에서 강압적으로 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기가 어렵다고 해서 원고패소 판결 내린 것으로 알고 있다.” (오후 3시10분) “제가 아까 강압이 없었다고 이야기했습니까. 그건 제가 잘못 말한 것 같고요.” (오후 3시26분)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 후보가 21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하면서 이렇게 말을 뒤집었다. 정수장학회 전신 부일장학회 설립자 고 김지태씨 유족이 제기한 소송의 1심 판결 내용을 놓고서다.

박 후보는 “법원에서 (김지태씨가 재산 헌납을) 강압적으로 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해서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를 세 차례 반복해 말했다.



1심 법원은 부산일보 주식 증여 과정의 강압성은 인정했다. 다만 김지태씨가 의사결정 능력을 완전히 박탈당한 상태에서 증여했다고 인정하기에 부족하다고 판결했다.

박 후보가 ‘강압성’을 부정하자 후보 측 관계자들은 당황하기 시작했다. 한 측근은 ‘강압성은 인정했으나 시효가 지났고, 김지태씨의 의사결정이 완전히 박탈당한 상태에서 주식 증여가 이뤄졌다고 인정하기에 부족하다’는 판결 요지를 적어 후보에게 쪽지로 건넸다.

박 후보가 기자들과 악수하는 사이 캠프 관계자들은 술렁였다. 한 보좌진은 당시 법원 판결 기사를 담은 기사 내용을 출력해왔고, 이정현 공보단장이 후보에게 관련 기사를 보여주며 건의를 했다.

박 후보는 기자회견을 마친 지 10여분 만에 다시 마이크를 잡았다. 그는 “아까 강압이 없었다고 얘기한 건 잘못 말한 것 같다. 강압이 있었는지 인정하기 어렵다고 패소 판결한 걸로 알고 있다”며 “(법원에서) ‘강압에 의해 주식 증여가 인정된다고, 강박의 정도가 김씨 스스로 박탈할 만큼 무효로 할 정도로 인정되지 않는다’고 (했고), 없다고 말한 것은 잘못 말한 것 같다”고 정정했다.

하지만 가장 쟁점인 사안을 두고 세 차례나 같은 말을 한 것을 ‘착오’로만 볼 수 없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결국 박 후보 스스로는 강제 헌납이 아닌 자발적 헌납으로 알고 있다는 것이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