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수도권 중심 ‘깡통주택자’ 19만명… 연체자도 4만명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수도권 중심 ‘깡통주택자’ 19만명… 연체자도 4만명

7등급 이하 저신용·다중채무…주택담보대출자 23만여명

집이 경매에 넘어가도 빚을 갚지 못하는 ‘깡통주택자’가 19만명에 이르고 저신용·다중채무 주택담보대출자가 23만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약계층의 채무상환 능력이 떨어지면서 제2금융권의 부실채권 위험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지난 10월 말 기준 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은 394조9000억원이었다. 은행권이 312조1000억원(79%), 제2금융권이 82조8000억원(21%) 등으로 집계됐다.

금융감독원이 2일 내놓은 ‘전 금융권 주택담보대출 리스크 현황’을 보면 경기 부진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주택가격 하락으로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상승하는 등 집을 둘러싼 가계부채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 금융당국이 주택담보대출과 관련해 전 금융권 대상의 실제 통계치를 발표한 것은 처음이다. 그동안은 금융 관련 연구소의 추정치가 전부였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가 지난달 30일 현재 서울 강남·서초·송파·강동구의 재건축 아파트 평균가격이 3.3㎡당 2895만원으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사진은 전주보다 4500만원 이상 하락한 서초구 잠원동 대림아파트. | 연합뉴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가 지난달 30일 현재 서울 강남·서초·송파·강동구의 재건축 아파트 평균가격이 3.3㎡당 2895만원으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사진은 전주보다 4500만원 이상 하락한 서초구 잠원동 대림아파트. | 연합뉴스

■ ‘깡통주택자’ 19만명

지난 9월 말 현재 금융권(은행 제외는 6월 말) 주택담보인정비율(LTV) 60% 초과대출액은 85조8000억원으로 전체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21.9%를 차지했다. 대출자는 94만2000명에 이른다. LTV 70% 초과대출액은 26조7000억원(6.8%), 24만명이었다. LTV 80% 초과대출액도 4조1000억원(1%), 4만명에 달한다. 금감원은 올 들어 지난 10월까지 빚을 못 갚아 경매에 넘어간 주택의 평균 경락률(시가 대비 경매낙찰가) 76.4%를 기준으로 초과대출 규모는 13조원(3.3%), 이른바 ‘깡통주택자’인 대출자는 19만명으로 봤다. 깡통주택자는 주택가격 하락 폭이 큰 수도권에 집중됐다. 수도권의 경락률 초과 대출자는 18만명(12조2000억원), 지방은 1만명(8000억원)으로 나타났다. 금융권별로는 상호금융이 11만명(6조1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은행 7만명(5조6000억원), 저축은행 1만명(5000억원) 등이다. 특히 제2금융권의 후순위 주택담보대출자는 15만1000명(5조7000억원)으로 이 가운데 LTV 70% 초과대출자는 3만명(1조8000억원)이었다. 후순위는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에 밀려 바로 제2금융권의 부실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주택담보대출 연체자 4만명

수도권 중심 ‘깡통주택자’ 19만명… 연체자도 4만명

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말 0.95%에서 지난 3월 말 1.15%로 올라선 후 8월 말 1.32%까지 상승했다. 특히 저축은행 연체율은 지난 8월 말 기준 11.58%, 여전사는 5.22% 등을 보였다. 은행권 연체율 0.91%와 현저히 차이 났다. 경기침체로 취약계층의 빚 상환능력이 그만큼 나빠진 것으로 풀이된다.

주택담보대출자 가운데 1개월 이상 빚을 못 갚고 있는 연체자는 4만명으로 모두 7등급 이하 저신용자였다. 전체 주택담보대출자 가운데 0.8%에 해당한다. 연체규모는 4조5000억원, 비중은 1.1%이다.

상호금융이 1만9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은행 1만7000명, 저축은행 2000명 등 순이었다. 은행권의 경우 내년에 일시상환대출의 62.0%가 만기가 도래한다. 분할상환대출의 27.1%가 거치기간이 종료돼 본격적인 빚상환이 시작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내년에 경기침체 지속으로 소득이 증가하지 않고 주택 가격이 추가로 하락한다면 빚을 갚지 못하는 연체자는 더욱 급증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 저신용·다중채무 주택담보대출자 23만명

7등급 이하 저신용자이면서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빚을 낸 다중채무자의 주택담보대출액은 25조6000억원, 전체 주택담보대출액 가운데 4.8%에 해당한다. 이들은 모두 23만명으로 전체 주택담보대출자의 4.1%를 차지한다. 23만명 대부분이 저축은행과 캐피탈 등 고금리의 제2금융권을 이용하고 있었다. 이 중 고위험군으로 제2금융권만을 이용하는 주택담보대출자는 7만명, 대출액은 7조원에 이른다. 은퇴에 접어든 50세 이상의 고령층 저신용·다중채무자 상황도 심각하다. 이들은 9만명으로 주택담보대출액은 11조1000억원이었다. 이 가운데에서도 제2금융권만을 이용하는 대출자는 3만명으로 집계됐다.

금감원은 부실위험이 있는 주택담보대출 연체와 LTV 80% 초과 대출을 중심으로 위험상황과 채무상환능력 등에 대해 이달 중 정밀점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