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에 명단 노출·민감한 사생활 공개 등 양측 모두 부담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박선규 대변인은 30일 대통령직인수위 인사와 관련해 “청와대 검증팀과 협조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잇단 인사검증 부실 논란에 청와대 검증 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다는 해명을 내놓은 것이다. 그는 “청와대에서 활동하고 주목할 만한 분의 인사 파일을 대체로 갖고 있고, 시작 단계부터 필요할 때 협조된다”고도 했다. 사생활까지 포함될 수 있는 내밀한 인사자료 특성을 감안하면 협조 방식에 관심이 쏠린다.

18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에서 30일 경찰들이 순찰을 하고 있다. | 김정근 기자 jeongk@kyunghyang.com
박 대변인 해명은 청와대가 직접 검증을 한다기보단 정권 출범 전 협조 관계의 원론을 설명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아직 구체적으로 요청이 없었기 때문에 (검증이) 진행되고 있는 것은 없다. 청와대에서 인사 자료를 넘긴 것도 아직은 없다”(핵심 관계자)고 밝혔다.
박 당선인 측 한 관계자는 “내밀한 청와대 자료를 보고 검증하고 그런 의미는 아닐 것이다. 인수위 대상자들의 경우 청와대 데이터베이스에 있는지 불분명하다. 그보단 범죄경력 조회 등 기초적 자료를 협조받는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하지원 청년특위 위원의 돈봉투 논란 등의 재연에 대비해 대상자 동의하에 병역·납세·전과 기록 등을 살펴보는 정도일 것이란 의미다.
다만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20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 “효과적인 인수인계가 될 수 있도록 각 수석실이 직접 챙겨달라”고 적극 협조를 지시한 것을 감안하면, 향후 중요한 조각 인사나 청와대 인선 과정에선 보다 진전된 협조 시스템이 구축될 가능성도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어떤 방식이든지 인사검증을 지원해달라고 하면 협조할 생각”이라고 했다.
이 경우도 양쪽 모두에 부담은 있다. 박 당선인 측 입장에선 사전에 인사 그림이 노출된다는 점이, 청와대 입장에선 민감한 특정인 인사 평가 내용을 내보여야 한다는 점이 부담이다. 청와대에서 “인수인계를 하더라도 구체적 자료를 다 넘기기는 어렵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