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여론은 복지 확대를 위해서라면 세금을 더 낼 의향이 있다는 쪽이 우세했다.
‘복지 확대를 위해 세금을 더 낼 의향이 있느냐’는 물음에 응답자들은 ‘매우 그렇다’ 8.3%, ‘다소 그렇다’ 44.5%로 52.8%가 동의했다. 반면 ‘별로 그렇지 않다’ 30.1%, ‘전혀 그렇지 않다’ 16.3% 등 반대는 46.4%였다.
여성보다 남성이 복지 증세에 긍정적이었다. 남성 58.1%가, 여성 47.6%가 찬성했다. 주부들은 복지 체감보다 살림·물가 체감이 더 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주부는 52.9%가 반대해 직업별로 보면 두 번째로 증세에 부정적이었다. 나이가 많을수록 세금 부담에 부정적이었다. 20대 60.4%, 30대 56.9%, 40대 55.7%가 복지 증세에 긍정한 반면 50대에서는 50.5%, 60대는 42.2%만이 동의했다. 20대의 경우 면세층이 많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세금 납부액이 큰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직업별로 복지 증세에 가장 부정적인 층은 ‘무직·기타’로 58.1%가 반대했다. 연금생활자들이 이 계층에 포함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론 광주(77.8%), 제주(66.7%), 강원(63.3%)의 복지 증세 공감이 컸고, 서울은 증세 찬반이 49.3%로 동일했다. 통념과 달리 스스로를 ‘중도’라고 답한 응답자 58.9%가 복지 증세에 찬성, ‘진보’로 답한 층 56.1%보다 높았다. 복지 증세가 진보층만의 요구는 아니라는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