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이 물러난 25일 부일장학회를 강탈당한 고 김지태씨의 유족들은 “관리인이 물러난 것일 뿐 지금부터가 중요하다”며 사회적 기구 논의를 통한 장학회 사회 환원을 요구했다.
김지태씨 5남 김영철씨는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최 이사장은 장학회의 관리인에 불과하고, 관리인이 물러나는 시기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라며 “박근혜 대통령은 대통합 차원에서 정수장학회에서 완전히 손을 떼야 한다”고 말했다. 김씨는 “유족들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최 이사장이 있을 때의 각본대로 그가 물러나고 외형적인 모양새만 갖춘 후 (재산을) 매각하는 것”이라며 “정수장학회를 유족들과 사회 명망가, 사회에 환원하는 것만이 대통합과 민주화에 걸맞은 행동이고, 그래야 완전히 정수장학회 문제가 끝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꼼수를 부려 정수장학회를 처분하고 선거자금 등으로 쓰려 한다면 역사적으로 아버지인 박정희 전 대통령이나 박 대통령 본인을 모두 욕보이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수장학회가 주식 100%를 소유하고 있는 부산일보 직원들은 최 이사장의 사임 소식에 “박 대통령이 취임과 함께 대타협을 하려는 신호로 받아들인다”며 반겼다.
그러나 부산일보 노조는 “최 이사장의 사임 이후 부산일보사의 향후 상황을 예상하기 어렵다”면서 “최 이사장의 사임이 부산일보의 발전과 안정에 도움이 되길 희망하며 이 같은 방향으로 진행될 경우 노조는 적극적으로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일보는 지난해 정수장학회의 사회환원을 촉구하는 기사를 실었다가 발행이 중단되는 사태를 겪었다. 이 과정에서 사측은 지난해 10월19일 노사 갈등 속에 대기발령을 받은 이정호 부산일보 편집국장을 임기를 2개월여 남겨둔 시점에 해고했다.
정수장학회가 30%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MBC 측은 일단 평가를 유보했다. MBC 노조 관계자는 “최 이사장의 사퇴는 박 대통령이 후보 시절에도 간접적으로 요구했던 사항이고, 박 대통령이 취임하면 사임을 할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다”며 “이사장의 사임만으로 특별한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정수장학회의 지분변화 등 가시적인 성과가 있어야 의미를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 이사장과 MBC 사측은 지난해 10월 MBC 지분 30% 매각을 논의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을 낳았다. 당시 김재철 사장이 MBC 민영화를 추진하면서 공정방송을 강조해온 노조를 무력화하는 계획을 짜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