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부산일보 주식과 경향신문사 부지 등 보유
정관상 금융자산은 2010년 4월 현재 210억원 넘어
정수장학회의 재산은 MBC 주식 30%(6만주), 부산일보 주식 100%(20만주), 경향신문사 부지(2384㎡)가 큰 축을 이루고 있다. MBC와 부산일보 주식은 장부가액으로 23억원에 불과하지만 시가로는 추정이 불가능하다.
경향신문이 입수한 정수장학회 정관에는 2010년 4월 갖고 있는 금융자산이 210억원이 넘는다. 지난해 12월 민주통합당은 금융자산을 200억원으로 평가했다.
사회환원 논란은 정수장학회 설립 당시 출연한 재산이 박정희 전 대통령이 권력을 이용해 강탈했던 재산을 토대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부산의 기업인 고 김지태씨가 1958년 설립한 부일장학회는 5·16 군사쿠데타 이듬해인 1962년 5·16장학회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 과정에서 김씨가 소유하고 있던 부산의 땅 10만평과 부산일보·한국문화방송 주식 100%, 부산문화방송 주식 65.5%를 ‘강탈’당했다는 게 유족들의 주장이다.
 보유 재산 현황은](https://img.khan.co.kr/news/2013/02/26/l_2013022701003459700276282.jpg)
1982년 5·16장학회는 정수장학회로 이름을 바꿨다. 이후 김씨가 강압에 의해 기부승낙서에 서명을 했다는 사실이 제기되고 법원에서도 인정되면서 정수장학회의 사회환원 요구가 커지고 있다.
최필립 이사장은 사퇴하면서 “정수장학회는 50년 전 박정희 대통령이 수립한 엄연한 공익재단”이라며 사회환원 논란이 일단락되기를 원했다. 그러나 김씨의 5남 김영철씨는 “최 이사장이 물러나고 소위 명망가라는 박근혜 대통령의 측근들을 또 이사진으로 앉혀 모양을 갖춘 뒤 MBC 등 지분 매각을 밀어붙이는 것이 가장 우려된다”고 말했다.
최 이사장은 실제 지난해 10월 MBC 경영진과 만나 MBC 민영화와 정수장학회 지분 매각 방안을 논의해 파문을 일으켰다. 스스로 공익재단이라면서 MBC 지분 매각을 논의했다는 것 자체가 ‘장물’ 시비가 이어지는 장학회를 사유재산으로 보고 있다는 논란을 키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