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1) 현 이사진 거취는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1) 현 이사진 거취는

‘최필립의 그림자’ 이사 4명은 동반퇴진 입장 안 밝혀

지난해 12월 임기 끝난 김덕순·신성오 이사는 임기 4년 연임신청 승인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이 지난 25일 전격 사퇴하면서 나머지 이사 4명의 거취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고 김지태씨 유족과 시민단체들은 박근혜 대통령과 인맥으로 연결돼 있는 장학회 이사진 전원이 동반 퇴진하고 중립적인 새 이사진을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송광용 전 서울교육대 총장, 김덕순 전 경기지방경찰청장, 신성오 전 필리핀 대사, 최성홍 전 외교통상부 장관 등 이사 4명은 박 대통령과의 인연이 겹겹이 이어져왔다.

1999년 취임한 송광용 이사와 2000년 취임한 김덕순 이사는 박 대통령이 정수장학회 이사장으로 있을 때 이사직을 맡았다. 김 이사는 박 대통령이 이사장을 맡던 한국문화재단 이사도 겸직 중이다. 송 이사도 정수장학회 이사를 최장기 3회 연임하던 중에 2002년부터 3년간 한국문화재단 감사로 일했다.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청와대에서 일한 신성오·최성홍 이사는 최 이사장이 끌어들인 외교부 인맥이다.

관심은 이사들의 동반 사퇴 여부에 모아지고 있다. 최 이사장이 정수장학회가 장학재단으로 존속하기를 희망해 이사들이 현직을 유지할 가능성은 남아 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지난해 12월25일자로 임기가 끝난 김덕순·신성오 이사는 지난해 12월 임기 4년의 연임 신청이 들어와 사흘 뒤 승인됐다”고 밝혔다.

이운경 정수장학회 감사는 26일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대표자가 그만둔다고 해서 나머지도 같이 그만두면 장학회를 어떻게 운영하겠느냐”고 말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과 최 이사장의 ‘그림자’ 역할을 해온 이사들에 대해서는 시민사회와 야당의 사퇴 압박도 커지고 있다.

박 대통령의 영향권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 정치적 논란이 계속될 수밖에 없고, 재단 운영의 공정성과 독립성 평가도 이사진 구성 문제가 주요 잣대가 될 상황이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