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정수장학회 사회환원 목소리 커져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정수장학회 사회환원 목소리 커져

입력 2013.02.26 22:43

야당·시민사회, 이사진 중립적 인사 재편 요구

최필립 사퇴 계기 “새 공익재단으로 거듭나야”

지난 25일 최필립 이사장의 전격 사퇴를 계기로 정수장학회가 새로운 공익재단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야당과 시민사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박정희 정권 시절 기업인 김지태씨에게 강제로 빼앗은 ‘장물’을 사회에 환원하는 역사 청산의 문제, 박근혜 대통령과 측근들에 의해 사실상 폐쇄적인 ‘사조직’으로 운영됐던 문제, 장학회가 지분을 보유한 MBC와 부산일보 등 언론사의 독립성 문제가 난마처럼 얽혀 있는 정수장학회를 향해 새로운 해법과 출구를 요구하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박 대통령의 영향에서 벗어나 순수하고 독립된 공익재단으로 거듭날 수 있는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최 이사장의 사퇴 다음날인 26일 정수장학회 이사진과 사무처 직원들은 언론 접촉을 피했다. 서울 중구 정동 정수장학회 사무실도 외부인 출입을 통제했다. 이운경 감사는 “27일쯤에 신규 이사 선임 등을 위한 이사회 일정 논의가 이루어질 것”이라며 “대표자(최 이사장)가 그만뒀다고 나머지(이사들)도 다 그만두면 장학회 운영이 되겠느냐”고 말했다.

최 이사장도 지난 25일 사퇴하면서 장학회는 현재 틀을 유지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러나 정수장학회의 사회 환원과 이사진의 중립적인 재편을 요구하는 시민사회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재단법인인 정수장학회는 유일한 대표기구인 이사회가 모든 의사결정권을 갖는 구조인데다 이사진 구성도 박 대통령이 직접 임명하거나 영향권에 있는 인물들로만 오랫동안 이뤄져왔다.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는 “최 이사장의 사퇴로 박 대통령이 실질적으로 장악해 온 정수장학회의 본질이 마치 크게 달라진 것처럼 말하는 건 눈 가리고 아웅하는 격”이라며 “박 대통령의 특수관계인으로 재단에 들어와 운영을 좌지우지하던 이사들이 모두 교체되고 새롭게 추천된 이사들이 장학회의 사회 환원을 위해 사회적 논의를 이끌어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야당도 정수장학회의 사회 환원과 이사진 재편 요구를 공식화하고 나섰다. 민주통합당 정성호 수석대변인은 “정수장학회는 박정희 군사독재 시절 강압에 의해 억울하게 재산을 빼앗기고 고통받은 고 김지태씨 유족들과 적극적인 대화로 해결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며 국회에서 정치쟁점화할 뜻을 밝혔다. 진보정의당도 “국가 강압에 의해 강탈한 장물인 정수장학회는 여전히 박 대통령의 영향력 아래에 있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으며, 과거사에 대한 사과와 함께 사회 환원 조치가 이뤄져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