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남 탓’ 하는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남 탓’ 하는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

입력 2014.01.19 21:37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은 지난 6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 때문에 한바탕 곤욕을 치렀다. “한국대사관이 캄보디아 군·경찰 당국과 긴밀히 협조해 온 끝에, 군이 카나디아 공단 내 우리 기업만 직접 보호조치를 수행해 주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이는 약진통상의 공수부대 출동 요청 의혹과 맞물리면서 일파만파 확산됐고, 급기야 미국 인터넷 언론 ‘글로벌포스트’가 기사화하기에 이르렀다. 기자가 캄보디아에 머무르는 동안 만난 국제기구 및 비정부기구(NGO) 관계자 모두가 한국대사관의 페이스북 소동을 알고 있을 정도였다.

[기자메모]‘남 탓’ 하는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

대사관은 논란이 확산되자 사흘 후 이 글을 삭제했고, 지난 17일 두 번째 장문의 공지글을 올렸다. “일부 ‘악의적인 기고문’ 때문에 이번 유혈사태의 배후에 대한민국 공관과 기업들이 있는 것처럼 잘못 알려지고 있다”면서 “대사관이 군과 접촉해 한국 기업의 재산보호를 요청한 것은 맞지만, 이는 중국과 일본 등 다른 나라들도 당연히 했을 조치”라는 내용이었다.

누구도 대사관이 지난 3일 카나디아 공단의 유혈사태를 뒤에서 조종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대사관이 비판받는 이유는 정상적인 외교루트를 통하지 않은 채 무자비한 탄압으로 국제적 지탄을 받고 있는 캄보디아 군경 당국과 직접 접촉해 ‘특별대우’를 요구하고, 그도 모자라 그 사실을 자랑스레 페이스북에 자화자찬한 비외교적인 인식 수준에 있다. ‘해명’을 하겠다는 두 번째 공지글에서조차 또 한번 접촉 사실을 공개했으니 대사관은 아무런 문제의식조차 없어 보인다.

반면 주캄보디아 일본대사관은 지난 8일 홈페이지에 올린 공지글을 통해 “최근 다수의 사망자와 부상자를 낸 유혈사태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며,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되기를 촉구한다”는 애도의 입장부터 밝혔다. 유혈참사로 충격에 휩싸였을 현지인을 존중할 줄 아는 양식 있는 외교관이라면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한국대사관은 남 탓만 하고 있다. 대사관 관계자는 ‘악의적인 기고문’이 무엇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글로벌포스트가 왜 그런 기사를 썼겠느냐. 한국인 누군가가 영어로 번역해 알려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한 종편방송의 아나운서가 아시아나항공 사망자를 두고 “(한국인이 아니라) 중국인이어서 다행”이란 말을 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고 사과를 한 일이 있었다. 외교관들의 인식이 그보다 더 나을 것 없어 보이니 안타깝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