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4대강 사업 탓”… 환경부 “용존산소 부족 현상 없다”
환경부와 충남도가 2012년 금강에서 발생한 물고기 집단 폐사 원인을 둘러싸고 공방을 벌이고 있다. 충남도 민관공동조사단은 4대강 사업에 따른 용존산소 부족이 주된 이유라고 밝혔지만 환경부가 최근 “용존산소 부족 현상이 없었다”는 정반대 조사결과를 내놓았기 때문이다. 민관공동조사단은 다시 “환경부 조사는 집단 폐사한 큰 물고기가 서식하는 강바닥의 용존산소 수치가 빠진 부실조사”라며 반박했다.
환경부는 지난달 28일 “2012년 금강과 낙동강에서 발생한 어류 폐사에 대해 환경과학원이 정밀조사를 벌인 결과 명확한 폐사 원인이 규명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특히 “독성물질 분석과 용존산소 부족 등 모든 집단 폐사 요인에서 특이사항이 없었다”고 덧붙였다.
환경부는 앞서 충남도 민관공동조사단이 제기한 ‘용존산소량 부족에 의한 폐사 가능성’에 대해서도 “금강은 측정자료의 최소값이 7.6㎎/ℓ 이상으로 산소부족 현상은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며 용존산소 부족은 원인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충남도 민관공동조사단은 지난해 10월 “용존산소 결핍이 집단폐사의 원인인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며 “물고기 폐사가 시작된 지점의 4대강 사업에 따른 환경적 특성 변화가 특정됐다”고 밝힌 바 있다.
두 조사에서 상반된 결과로 논란이 되는 부분은 용존산소량 측정 방법과 측정치에 대한 상이한 분석이다. 환경과학원은 용존산소량 분석을 위해 부여군 부여읍 왕진교 인근 수질자동측정망 자료와 금강유역환경청의 사후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민관공동조사단에 참여했던 정민걸 공주대 환경교육과 교수는 2일 “채수 위치가 표층으로부터 1m지점인 수질자동측정망 자료를 보면 사고 발생 시점부터 용존산소량이 낮아지는데 수심 4m 이하의 용존산소 농도가 표층수보다 4∼5㎎/ℓ정도 낮아지는 특성을 고려하면 강바닥에서는 용존산소량 부족으로 물고기가 폐사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며 “환경부는 단순 측정자료로만 결론을 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양흥모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도 “초기 조사가 부실한 상태에서 환경부가 뒤늦게 조사를 벌이면서 인용한 수질측정 자료로는 폐사 발생 초기의 수질 변화를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