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지난해 지연·결항율 에어캐나다가 가장 높고, ANA가 가장 낮았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지난해 지연·결항율 에어캐나다가 가장 높고, ANA가 가장 낮았다

지난해 국내에서 운항한 항공사 중 지연·결항율(정비 사유)이 가장 높았던 곳은 에어캐나다였다. 가장 낮은 항공사는 전일본항공(ANA)이었다.

국토부는 국내에 취항하는 32개국, 70개 항공사의 최신 안전정보와 지연·결항 정보를 국토부 홈페이지 정책마당에 공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중 한국공항공사가 집계한 지난해 지연·결항율을 보면, 에어캐나다가 2.24%로 가장 높았다. 357회 운행에서 9번 지연·결항이 일어났다. 그 다음은 아메리칸항공으로 262회 운항 중 5번 지연·결항(1.91%)됐고, 에어칼레도니아인터내셔널은 105회 중 2번 지연·결항(1.90%)돼 3위를 기록했다. 이 통계는 기상 악화 등이 아닌 정비 등 항공사의 사유로 지연·결항된 경우로 한정해서 집계됐다. 원래 출발시간보다 1시간 넘게 늦은 것을 지연된 것으로 봤다.

지난해 한 번도 지연·결항이 없었던 항공사는 14곳이었다. 그 중에서도 전일본항공(ANA)의 전체 운항횟수가 1198회로 가장 많아, 지연·결항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받았다. 그 밖에 에어아시아(461회), 에미레이트항공사(367회), 만달린항공(280회), 사할린스키항공(251회) 등이 지연·결항 없이 운항했다.

국내 항공사 중엔 에어부산이 0.06%로 지연·결항율이 가장 낮았고, 대한항공(0.12%), 아시아나항공(0.20%), 진에어(0.26%), 제주항공(0.31%), 티웨이항공(0.59%), 이스타항공(0.71%) 순이었다.

국내에 취항하는 항공사 중 국제민간항공기구가 발표한 항공안전우려국(13개국), 미국이 분류한 안전 2등급 국가(11개국), 유럽에 취항이 금지된 국가(27개국) 중 하나 이상 속한 곳은 7개 항공사였다. 카자흐스탄(이스타나)이 국제민간항공기구의 항공안전우려국에 포함됐고, 인도네시아(가루다), 인도(인도항공), 필리핀(필리핀항공, 세부퍼시픽, 에어아시아제스트)이 미국의 안전2등급 국가에 포함됐다. 키르기즈스탄(에어비쉬켁)은 유럽의 취항금지 블랙리스트에 들었다. 국토부는 이 항공사에 대해선 국내 신규취항을 제한하거나, 현재 운항중이더라도 2년 내에 개선하지 않으면, 운항을 금지하는 법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사망사고가 발생한 48개 민간항공사 중 국내에 취항하는 항공사는 아시아나항공, 라오항공, 미국 UPS 등 3곳이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