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분리수거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분리수거

‘쓰레기 분리수거.’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접하는 말이다. 한동안 글쓴이 아파트단지 알림판에도 주민들에게 쉽게 쓰레기 분리수거를 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소식지가 붙어 있었다.

그런데 이럴 땐 ‘분리수거’가 아니라 ‘분류배출’이라고 해야 바른말이 된다. ‘분리(分離)’는 ‘서로 나뉘어 떨어짐. 또는 그렇게 되게 함’을 이른다. 즉 큰 덩어리에서 작은 덩어리를 떼어내는 행위가 ‘분리’다. 또 ‘수거(收去)’는 ‘거두어 감’을 뜻한다. 그래서 분리수거는 ‘쓰레기나 재활용품 등을 종류별로 나누어서 늘어놓은 것을 누군가가 거두어 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환경미화원들이 쓰레기 따위를 거두어 가는 것은 ‘분리수거’가 맞다.

[알고 쓰는 말글]분리수거

하지만 가정에서 집 밖으로 쓰레기를 내놓는 것을 ‘분리수거’라 할 수는 없다. ‘밖으로 내놓는 것’을 한자로 ‘배출(排出)’이라고 한다. 가정에서 쓰레기나 재활용품을 버릴 때 먼저 종류별로 나눈다. 이처럼 종류에 따라서 가르는 것을 ‘분류(分類)’라고 한다. 이렇게 볼 때 ‘분류배출’이라고 해야 옳다.

말이 좀 어렵고 낯설다고 느끼는 사람도 있겠지만 ‘쓰레기 분류배출’이 정확한 표현이다. ‘쓰레기 분류배출’은 쉬운 말로 하면 ‘쓰레기 종류별로 나누어 내놓기’쯤 되겠다. 어쨌든 가정에서 쓰레기 따위를 ‘분류배출’하면 환경미화원들이 ‘분리수거’하는 게 이치에 맞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