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이 오는 15일 ‘P5+1’(유엔안보리 상임이사 5개국+독일)과의 핵협상을 앞두고 보수파가 장악한 의회 입법을 대신해 핵협상 문제를 국민투표에 부칠 수 있다고 말했다. 취임 후 1년 반동안 줄곧 경제살리기를 강조해 온 로하니 대통령이 이란의 변화 가능성을 알리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제스처를 취한 것으로 풀이된다.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로하니 대통령은 지난 4일 테헤란에서 열린 경제컨퍼런스에서 핵협상의 주요성을 강조하면서 “경제·사회·정치 등 주요 분야의 문제에 대해 의회에서 입법을 추진하는 대신 국민투표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신문은 전문가들의 분석을 인용해 로하니 대통령이 서방과의 핵협상을 반대하는 보수파가 다수인 의회에 협상문제를 묻는 대신 국민투표를 실시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했다.
당초 지난해 11월 말 타결을 목표로 했던 핵협상은 오는 6월말까지로 최종 타결 시한을 연장했다. P5+1는 이란에 대한 경제 제재를 해제하는 대가로 원심분리기 감축과 우라늄 농축 중단 등을 요구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한 인터뷰에서 이란과의 관계 개선을 묻는 질문에 “불가능하지 않다”면서도 전제조건을 핵협상 타결을 내걸었다.
로하니 대통령은 이날 강연에서 “우리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원심분리기의 수가 아니라 우리의 마음과 의지”라면서 경제회복을 위한 개방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우리의 정치적 경험은 고립된 상황에서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외국인 투자자들이 이란에 오면 우리의 자주가 어려워질 것이라고 생각하던 시절은 지났다”고 말했다. 로하니 대통령은 “지금까지는 정치를 위해 경제가 희생해 왔다”며 “정치와 외교가 경제를 위해 희생해도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