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무기 10~15년간 억제’ 의견 접근

워싱턴 | 손제민 특파원

미·이란 3월 말 타결시한 앞두고 협상 윤곽

이란 핵협상의 사실상 타결 마감시한인 ‘3월 말’이 임박한 가운데 미국과 이란이 이룬 합의의 큰 틀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이란의 완전한 비핵화가 아니라 핵 동결로 핵무기 제조를 억제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이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2일 로이터통신에 “목표는 그들이 핵무기를 갖겠다고 결심하는 순간에서 실제로 핵무기를 갖게 되기까지 적어도 1년이 걸리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란이 최소 10년 동안 핵 프로그램을 현 수준에 머물러 있게 하고 우리가 그것을 검증할 방법을 갖게 된다면, 그들이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는다고 확신하는데 그보다 더 나은 것이 없다”고 말했다.

이는 이란이 가동되는 원심분리기 수를 줄이는 등의 방법으로 핵무기를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브레이크아웃 타임)을 현행 2~3개월에서 1년으로 늘리고 이를 10~15년가량 유지되도록 한다는 의미다.

하지만 이란은 ‘애초 핵무기 개발 의사가 없었다’며 브레이크아웃 타임이 너무 길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미국은 합의 유지 기간을 15년으로 되도록 길게 잡으려는 반면 이란은 10년으로 짧게 하려 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브레이크아웃 타임이 어느 선에서 정해지든, 이 기간 동안 국제사회는 이란 핵시설에 대한 사찰과 검증을 통해 핵무기 제조 능력을 ‘평화적 핵 이용’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밟게 된다.

이란에 가한 제재도 순차적으로 해제하고, 핵무기 개발 의혹이 모두 불식되면 제재를 완전히 해제하게 된다. 워싱턴의 외교소식통은 “비확산 기술자들이 이러한 틀 내에서 협상타결을 위한 여러 가지 조합을 만들어뒀고, 사실상 정상 수준의 정치적 결단만 남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3일 미국 의회 상·하원 합동 연설을 하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등 이란 핵협상 반대파들은 이러한 합의가 결국 이란의 핵무기 개발을 용인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로버트 아인혼 전 국무부 군축·비확산담당 차관보는 뉴욕타임스 기고에서 “어떠한 합의라도 그것이 미래에 이란이 핵무기를 갖기로 결심할 경우 충분한 억제책이 되는지에 비춰 성공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며 “실제로 나올 합의를, 이상적이지만 실현불가능한 합의와 비교할 게 아니라 협상 결과물로 나올 현실적 대안과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란 핵협상 타결시한은 6월이지만, 미 의회가 3월까지 큰 틀의 합의가 나오지 않으면 이란 제재법안을 처리하겠다고 위협하고 있어서 3월 말이 사실상 타결 마감시한이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과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지난주에 이어 이번주에도 스위스 제네바에서 막판 협상을 벌인다.


Today`s HOT
더 나은 복지와 연금 인상을 원하는 프랑스 시민들 오슬로에서 이루어진 우크라이나-노르웨이 회담 평화를 위해 심어진 붉은 깃발 텍사스 주 산불, 진압 위해 작업하는 대원들
시드니 풋볼 월드컵 예선을 준비하는 호주 선수들 런던에서 열린 춘분식
런던의 어느 화창한 날, 공원에서의 시민들 달러와 연료 부족난을 겪는 볼리비아 사람들
대피 명령 경보 떨어진 베이트 하눈을 떠나는 사람들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전쟁 종식 시위 라마단을 위한 무료 문신 제거 서비스 175명씩 전쟁 포로 교환, 돌아온 우크라이나 군인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