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단독]“박창진 사무장 산재 여부 조현아 재판 끝나면 결정”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단독]“박창진 사무장 산재 여부 조현아 재판 끝나면 결정”

대한항공, 산재 심사 연계 의도

박 사무장, 미서 손배소송 준비

대한항공이 ‘땅콩 회항’ 사건으로 산업재해를 신청한 박창진 사무장에게 “조현아 전 부사장에 대한 재판이 끝나면 산재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통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박 사무장은 사측이 조 전 부사장과의 합의를 산재 심사와 연계시키려 한다고 비판했다.

박 사무장 측 관계자는 28일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대한항공이 조현아 전 부사장의 재판 결과가 나온 다음 산재 심사를 진행하겠다고 통보했다”고 말했다.

박 사무장은 땅콩 회항 사건으로 업무상 피해를 봤다며 지난달 근로복지공단에 산재를 신청했다. 산재 승인 여부는 근로복지공단이 심사하지만 사측이 근로복지공단 조사 과정에서 사실관계 확인 등에 협조하지 않으면 심사가 지연된다. 박 사무장은 지난 11일부터 공상(공무 중 부상)으로 유급 휴가 중이다.

이 관계자는 “당초 대한항공은 회사에 산재 업무 담당자가 없다고 했다가 이번에는 조 전 부사장 재판이 진행 중이라며 산재 심사를 지연시키고 있다”며 “산재 조사에 협조하는 대신 박 사무장이 조 전 부사장과 합의하도록 압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한항공은 “박 사무장에 대한 산재 심사는 근로복지공단의 결정에 따를 것이고 최대한 협조할 것”이라면서 “현재 박 사무장은 산재보다 더 좋은 조건인 공상 처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 전 부사장은 2월 1심에서 항공보안법상 항공기 항로 변경 등 혐의로 징역 1년을 선고받았다. 항소심이 진행 중이며, 검찰은 20일 조 전 부사장에 징역 3년을 구형했다. 선고공판은 다음달 22일 열린다.

박 사무장은 또 국내 재판과 별도로 땅콩 회항 사건이 벌어진 미국 뉴욕에서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박 사무장 측 관계자는 “현재 미국 변호사들을 만나고 있으며 청구액은 500억원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당시 조 전 부사장에게 견과류를 직접 서비스했던 김도희 승무원도 지난달 대한항공과 조 전 부사장을 상대로 미국에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