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중국·러시아도 웃는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중국·러시아도 웃는다

  • 구정은 기자

ㆍ중국, AIIB 회원국 이란 석유 풀리면 최대 수혜
ㆍ러시아, 무기 수출 기대… 서방 경제 제재에 숨통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 정도를 빼면 국제사회는 대부분 이란 핵 합의를 환영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수혜자로 꼽히는 것은 러시아와 중국이다.

특히 러시아는 이번 합의로 ‘가시적인 이득’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핵 협상에서 서방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중 하나인 러시아를 설득하기 위해 유엔의 이란 무기 금수조치를 일부 완화, 이란이 재래식 무기를 사들일 길을 열어줬다. 러시아는 2007년 이란과 S300 미사일 매매 계약을 맺었으나 유엔 제재 때문에 보류됐다. 이 거래는 8억달러에 이르는 규모다. 러시아와 이란은 지난 1월에도 광범위한 군사협력 협정을 체결했다. 우크라이나 문제로 서방의 제재를 받는 러시아는 이란 시장을 여는 데 전력을 다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핵 합의 뒤 뉴욕타임스 인터뷰에서 이번 협상에 러시아가 “놀랄 만큼 협조적이었다”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을 핵 합의의 최대 수혜국으로 꼽았다. 이란 석유가 풀리면 가장 많이 사들일 나라는 결국 중국이라는 것이다.

이란은 중국의 잠재적 에너지 공급원인 동시에, 중국이 노리는 시장이기도 하다. 차이나데일리에 따르면 중-이란 교역 규모는 지난해 518억달러였다. 아직 규모가 그리 크지는 않지만 전년보다 31.5%가 늘었다.

중국은 지금까지 중동에 확고한 발판이 없었다. 중동 산유국 대부분이 친미 아랍국이기 때문이다. 이란은 중국에 중요한 파트너가 될 수 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해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면서 전방위 협력을 다짐했다. 중국은 파키스탄을 거쳐 이란까지 이어지는 천연가스관을 만들고 있다. 이란은 중국이 주도하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에 창립회원국으로 가입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