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조위 ‘대본 문건’ 공개…증인들 사전 준비 정황
쟁점 질문·답변 담겨…해경 “개인이 마련한 자료”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 청문회를 앞두고 해경 측 증인이 사전에 작성한 ‘청문회 대본’ 문건이 공개됐다. 특조위는 “청문회를 대비해 증인들이 미리 말을 맞춘 것”이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해경 측은 “증인이 개인적으로 마련한 자료”라고 해명했다.
특조위는 22일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청문회 자료’라는 제목의 문건을 공개했다. 30여쪽 분량의 이 문건엔 ‘대외주의’라는 문구와 함께 작성일자가 청문회 1주일 전인 12월8일로 기재돼 있다. 참사 당시 초기 구조활동, 타 기관 세력 통제 의혹, 전원구조 오보 등 쟁점이 될 만한 질문들과 그에 대한 답변이 담겼다. 예를 들어 ‘세월호 참사 당시 현장상황 파악방법’에 관한 질문에는 “상황실 내 문자정보 시스템 등으로 실시간 확인했으나 현장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기엔 한계가 있었음”이라고 대답하는 식이다.
세월호 참사 현장에 처음 도착한 목포해경 123정의 초기대응에 관한 답변도 포함됐다. ‘123정 직원들은 구조된 사람들이 선원인 사실을 몰랐는지’라는 질문엔 “급박한 상황에서 구조에 집중하느라 선원인지를 파악 못했다고 진술”이라는 답변이, ‘(참사 당일) 10시17분경 유리창 안에 승객이 보이는데 구조하지 않은 이유’에는 “123정 경찰관에 의하면 선수 좌현 3층 유리창을 깨고 구조한 인원 외에는 갇혀 있는 승객을 보지 못했다고 함”이라는 답변이 준비됐다.
‘전원구조’ 오보와 관련한 답변 내용도 마련됐다. ‘해경에서 전원구조를 발표한 적 있나’라는 질문엔 “전원구조라고 해경에서 발표한 사실이 없으나, 단원고 교사가 학생 구조상황을 문의하자 본청 콜센터 근무자가 YTN의 ‘학생 전원구조’ 보도를 보고 확인해줌”이라고 적혀 있다.
권영빈 진상규명소위원장은 “해경은 감사원과 검찰 조사 직전 123정장을 중심으로 ‘퇴선명령을 했다’고 미리 말을 맞췄던 적이 있다”며 “청문회를 앞두고도 책임을 덜기 위해 비슷한 대책회의를 벌인 것 아닌지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해경 측은 청문회 증인이 개인적으로 마련한 자료라는 입장이다. 해경 관계자는 “증인들이 개인적으로 답변을 준비하면서 도와달라고 할 때 도움을 준 것은 있어도 같이 모여서 입을 맞추거나 자료를 배포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해당 문건에 대해서는 “(해경 측 증인이) 참사 이후 1년이 지나 기억을 되돌리기 위해 만든 것”이라며 “(본부에서) 국정감사 때 자료를 제공해주다 보니 개인이 만든 것 같지 않고 정부 양식과 비슷해 보이는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