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대우조선, 급여 최대 20% 깎고 본사 거제로 이전 추진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대우조선, 급여 최대 20% 깎고 본사 거제로 이전 추진

입력 2016.05.31 21:59

자구계획 규모 총 4조로 늘려…삼우중공업 등 자회사 매각도

대우조선해양이 직원 급여를 최대 20% 삭감하고 본사를 서울에서 경남 거제로 이전하는 등 강도 높은 추가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다. 대우조선은 현대중공업이나 삼성중공업과 달리 채권단 관리를 받고 있어 스트레스 테스트(재무건전성 평가) 결과에 따라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이번주 중 자구안을 확정지을 것으로 보인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산은에 수일 내로 2조원가량의 추가 자구계획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지난해 10월 냈던 1조8500억원과 합치면 자구계획 규모는 총 4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추가 자구안에는 임원뿐 아니라 생산·사무직 직원의 급여를 동종 업계 추세에 맞춰 10∼20% 삭감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본사 임원을 30% 줄이면서 기본급 10~20%씩을 반납하도록 했지만, 직원 임금을 삭감하기로 한 것은 처음이다.

대우조선은 종합 엔지니어링 담당 ‘디섹(DSEC)’과 선박 전문업체 ‘삼우중공업’, 급식레저업체 ‘웰리브’ 등 국내 자회사 매각도 검토하고 있다. 여기에 하반기부터 전 직원을 대상으로 1개월 무급휴가를 시행하고, 2019년까지 인력 2300여명을 감축해 전체 인원을 1만명 수준으로 줄이기로 한 일정을 앞당기기로 했다. 서울 중구 남대문로에 있는 본사도 경남 거제로 이전할 방침이다. 최근 대우조선 정성립 사장은 차장급 중간 간부와 함께 연 사내 간담회에서 “향후 회사를 옥포조선소 중심 체제로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7월에는 해양플랜트 설계 인원 250여명이 거제로 자리를 옮길 예정이다. 서울 사옥은 이미 코람코자산신탁에 1800억원에 매각하기로 한 상태다.

이렇게 되면 대우조선의 자구계획 규모는 조선업계 ‘빅3’ 중 최대가 된다. 다만 산은이 이를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외부 회계법인인 삼정KPMG에 의뢰한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를 종합해 자구계획이 실현 가능한지를 따져 승인 여부를 최종 결정하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이미 대우조선이 자구계획 초안을 산은이나 삼정KPMG와 공유한 것으로 알려져 향후 변화는 크게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