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가능인구 감소

정부, 아이 맘놓고 낳게 한다더니…예산 나몰라라

배문규·최희진 기자

현장 소통 없이 시행 ‘맞춤형 보육’은 혼란만 키워

보육정책, 출산 장려 역행

누리과정 예산도 더 안 주고 공립 유치원 ‘로또 추첨’ 몸살

‘0~5세 보육 국가완전책임제’를 약속했던 정부가 이를 위한 예산을 충분히 지원하지 않으면서 보육현장의 갈등이 현 정부 내내 격화하고 있다.

해마다 누리과정(만 3~5세 무상보육) 예산 책임 논란 속에 시·도교육청과 정부, 시·도의회 간에 갈등이 반복되고 있고, 연말마다 유치원 추첨 전쟁이 벌어진다. 최근엔 ‘맞춤형 보육’ 혼란까지 가세했다. 미혼 남녀들이 각종 설문조사에서 저출산 대책으로 ‘보육 지원’을 첫손에 꼽고 있는 만큼 현재 벌어지고 있는 보육현장의 혼란은 아이 낳고 싶은 마음을 떨어뜨리는 큰 요인이 되는 셈이다.

보육 난맥상의 대표적 정책이 누리과정이다. “아이 기르는 비용을 국가가 적극 지원해서 0~5세 보육은 국가가 책임지도록 하겠다”던 대통령의 약속과 달리 별도의 국고 지원은 없었고, 정부는 시행령을 고쳐 시·도교육청에 예산 지원 책임을 떠넘겼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1월 교육교부금 41조원을 시·도교육청에 전액 지원했다고 했지만, 누리과정 예산을 더 준 것은 아니다. 내국세의 20.27%로 고정돼 있는 기존 교부금에서 누리과정 소요예산 4조원을 떼어낸 뒤 교육청에 쪼개 줬을 뿐이다. 누리과정 때문에 보육대란에 이어 교육대란까지 온다는 절박한 호소가 나오는 이유다.

연말마다 ‘유치원 추첨’으로 보육현장은 몸살을 앓고 있다. 인기가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대기자가 수백명에 이르러 ‘로또’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그러나 국공립 어린이집·유치원 수용률은 10년째 제자리다. 박 대통령은 매년 국공립 어린이집을 50개씩 신축하고 100개씩을 국공립으로 전환하겠다고 약속했지만, 2016년 예산안에는 전년보다 10%가량 줄어든 302억원(135개소)만 책정됐다.

다음달 1일 시행되는 맞춤형 보육 정책도 애초에 덜컥 조건 없는 어린이집 종일반 이용을 허용했다가, 예산이 부족해지자 ‘맞춤형’이라는 명분을 끌어왔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0~2세 영아를 둔 가정은 현재 맞벌이 여부에 관계없이 무상으로 어린이집 종일반(12시간) 이용이 가능하다.

맞춤형 보육이 시행되면 외벌이(전업주부) 가정은 하루 6시간까지만 어린이집을 무상 이용할 수 있고, 보육료도 20% 삭감된다. 현장과의 소통과 설득 없이 강행하는 맞춤형 보육에 대해 각종 부작용 우려가 나오고 있다.


Today`s HOT
이색 파인애플 피자와 굿즈를 선보인 영국 루파 피자가게 베네수엘라의 1958년 독재 종식 사건 기념 집회 자이언트 판다를 위해 수확되는 대나무들 터키의 호텔 화재 희생자 장례식..
인도네시아의 뎅기 바이러스로 인한 소독 현장 브라질의 더운 날씨, 더위를 식히려는 모습
미국의 폭설로 생겨난 이색 놀이 동남아 최초, 태국 동성 결혼 시행
프랑스 에너지 강화 원동력, 태양광 패널과 풍력 터빈 카스타익에서 일어난 화재, 소방관들이 출동하다. 안티오크 학교 총격 사건으로 미국은 추모의 분위기.. 주간 청중에서 산불 겪은 미국을 위로하는 프란치스코 교황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