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이정미 “법의 도리, 고통 따르지만 오래도록 이롭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이정미 “법의 도리, 고통 따르지만 오래도록 이롭다”

헌재소장 권한대행 퇴임식

간소하게 치르려 가족 안 불러 30년 공직 마감…조용한 귀가

이정미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13일 서울 종로구 재동 헌법재판소 대강당에서 열린 퇴임식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등에 대한 소회를 밝히고 있다. 김창길 기자 cut@kyunghyang.com

이정미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13일 서울 종로구 재동 헌법재판소 대강당에서 열린 퇴임식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등에 대한 소회를 밝히고 있다. 김창길 기자 cut@kyunghyang.com

“법의 도리는 처음에는 고통이 따르지만 나중에는 오래도록 이롭다(法之爲道前苦而長利·법지위도전고이장리).”

박근혜 대통령을 파면한 탄핵심판의 재판장 이정미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55)이 13일 퇴임식에서 중국 고전 <한비자>의 한 소절을 소개하면서 “오늘도 유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권한대행은 퇴임식에서 파면 선고 당시의 고뇌를 털어놨다. 그는 “헌재는 엊그제 참으로 고통스럽고 어려운 결정을 했다”며 “이번 결정을 함에 있어 헌법과 법률에 따라 공정하게 절차를 진행하면서 헌법의 정신을 구현해 내기 위해 온 힘을 다했다”고 말했다.

이 권한대행은 이어 “현재 경험하고 있는 통치구조의 위기상황과 사회갈등은 민주주의와 법치주의, 그리고 인권 보장이라는 헌법의 가치를 공고화하는 과정에서 겪는 진통이라고 생각한다”며 “오늘은 진통의 아픔이 클지라도 헌법과 법치를 통해 더 성숙한 민주국가로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그는 “민주주의의 요체는 자신의 생각과 다르더라도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는 데 있다”며 화합의 메시지를 전했다. 퇴임식은 8분 만에 끝났다.

1984년 사법시험에 합격해 1987년 판사 생활을 시작한 이 권한대행은 2011년 대전고법 부장판사 시절 이용훈 당시 대법원장 지명으로 헌법재판관에 임명됐다. 역대 최연소이자 전효숙 전 재판관에 이어 두 번째 여성 재판관이었다.

박한철 전 소장으로 대표되는 헌재 5기 재판부에 속한 이 권한대행은 통합진보당 해산심판, 부정청탁금지법(김영란법)·간통죄 헌법소원심판 사건 등을 심리했다. 진보당 해산과 간통죄 사건에서는 각각 인용, 합헌 의견을 내기도 했다. 지난 1월31일 박 전 소장 퇴임으로 권한대행이 된 그는 지난 10일 탄핵심판 선고 날 심리 생각에 몰두하다 ‘헤어롤’을 빼지 못하고 출근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탄핵 사건 심리로 퇴임 준비를 못한 이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퇴임식 직전에야 퇴임사를 썼다.

이 권한대행은 퇴임식을 간소하게 치르고 싶다며 가족도 초대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퇴임식을 마친 뒤 헌법재판관 등 헌재 관계자들과 일일이 악수했다. 박수를 받으며 현관을 나온 이 권한대행은 ‘30년 공직생활 소회’를 묻는 기자들 질문에 미소로 답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