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책임지지 않는 책임자…돈보따리부터 챙기는 금융위와 전경련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책임지지 않는 책임자…돈보따리부터 챙기는 금융위와 전경련

4조원이 넘은 자금이 투입된 대우조선해양에 정부와 채권단이 또 수 조원대의 신규자금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지금까지 “추가 자금 지원은 없을 것”이라던 금융당국은 “대우조선을 구하는데 드는 돈보다 정리하는 데 드는 비용이 훨씬 크다”며 입장을 슬슬 바꾸고 있다. 대우조선이 망하면 우리 경제가 위기에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추가 수혈이 필요하다는 겁박의 논리다. 천문학적인 돈을 투입한 이유가 경제를 위기에서 구하기 위한 것 아니었나.

2015년 10월 청와대 서별관회의에서 대우조선에 4조2000억원을 투입키로 한 뒤에도 조선업 구조조정은 지지부진했다. 그런데 다시 천문학적인 자금을 투입하기로 했다면 이는 명확한 정책 실패다. 그렇다면 정책 실패에 대한 책임부터 지는 게 순서다. 책임질 사람이 책임을 지지 않고, 다시 돈보따리부터 챙겨보자는 데 여론이 좋을 리 없다. 더 아이러니한 것은 그 책임자가 여전히 ‘경제 위기의 소방수’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 경제와 산업에 이러한 무책임은 독버섯처럼 곳곳에서 자라고 있다.

미르·K스포츠 재단 설립을 위한 대기업 모금을 주도해 전국경제인연합회를 해체 위기로 몰고간 이승철 전 상근부회장이 20억원에 달하는 퇴직금 외에도 상근고문 자리와 격려금까지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돈이 어떤 돈인가. 기업들로 받는 회비인데 주말출근과 야근을 밥먹듯하는 노동자들의 땀이 서린 돈이다. 그 돈을 정경유착의 장본인이 챙기려 하고 있다. 지금까지 아무런 반성도 없는 사람에게 말이다. 전경련의 위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허창수 전경련 회장 역시 연임된 뒤 전경련의 환골탈태를 외치고 있다.

극자가 겸 소설가인 조지 버나드 쇼는 자신의 묘비명에 “우물쭈물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다”고 썼다. 구조조정과 정경유착 근절이 우물쭈물거리고 있는 것은 책임질 사람에게 책임을 지우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경제가 나락으로 빠진다면 그건 쇼의 묘비명으로 설명될 수 있다.

[김용민의 그림마당]2016년 6월10일

[김용민의 그림마당]2016년 6월10일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