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심상정 “새로운 도약의 계기 될 것” 존재감 각인 속 득표율 벽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심상정 “새로운 도약의 계기 될 것” 존재감 각인 속 득표율 벽

정의당 심상정 후보가 여의도 당사에서 이번 대선을 “새로운 도약의 계기”라고 자평한 뒤 감사 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의당 심상정 후보가 여의도 당사에서 이번 대선을 “새로운 도약의 계기”라고 자평한 뒤 감사 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두 자릿수 득표율의 벽은 아직 높았다. 정의당 심상정 대선후보(58)는 6번의 대선후보 TV토론에서 발군의 실력을 보여주면서 ‘심상정 바람’을 예고했지만, 결국 득표율은 한 자릿수에 그쳤다.

심 후보는 두 자릿수 득표율 확보가 힘들어진 9일 오후 9시20분쯤 여의도 제2 당사 개표상황실에 들러 “이번 선거는 우리 정의당의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될 것”이라며 “오늘 끝난 이 자리에서 국민 여러분들의 새로운 대한민국에 대한 열망을 받아안아 우리 정의당은 또다시 출발하겠다”고 말했다.

심 후보 측은 TV토론 이후 지지율 상승세를 이어갈 새로운 이슈를 선점하지 못하고 더불어민주당이 제기한 ‘사표론’에 밀린 것을 주요 실책으로 분석했다.

‘절반의 성공’이라는 평가도 있다. 심 후보가 5~6% 득표율로 진보정당 후보 중 최고 득표율을 얻을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종전 최고 득표율은 16대 대선 때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가 얻은 3.89%였다.

특히 TV토론을 통해 존재감이 부족했던 ‘심상정’과 ‘정의당’의 인지도를 높였다. 주요 현안에서 ‘진보적 목소리’를 분명히 드러내면서 진보정당의 존재감을 유권자들에게 각인시켰다는 것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여성 리더십의 새로운 상을 제시한 것도 성과이다. 심 후보는 선거기간 동안 여성, 청년, 비정규직, 성소수자 등 사회적 약자 문제를 정면으로 제시하면서 여성과 20·30대 청년 유권자층을 파고들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