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흥미로운 천문학 논문이 실렸습니다. 만고의 성군이라는 세종의 치세에 관측한 신성폭발 기록을 제대로 규명한 것입니다.
미국·영국·폴란드 등 6개국 공동연구진은 지난해 칠레에서 전갈자리 꼬리부분에 있는 한 별을 둘러싼 가스구름을 관측했습니다. 공동연구진은 이 가스구름을 연구하면서 1437년(세종 19년) 음력 2월5일 “미수(전갈자리 별자리)에서 객성이 14일간이나 나타났다”는 <세종실록> 기록을 검토했습니다. 그 결과 지난해 관측한 가스구름은 바로 1437년 폭발한 신성의 흔적이었음을 밝혀냈습니다. 조선 천문학의 수준을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빙산의 일각입니다. 고려와 조선의 천문학자들은 당대 서양 천문학을 압도할 정도의 빼어난 천문관측 수준을 보여줬습니다.
1073년과 74년 <고려사>는 서양에서는 관측하지 못한 ‘신성’ 기록을 남겼습니다. 그 뿐이 아니었습니다. 1592~94년 사이에도 역시 서양인들의 눈에 띄지 못한 객성을 4개나 관측했습니다. 특히 한 개의 객성은 15개월간 두 번의 연속된 기간에 걸쳐 관측됐습니다. 이 객성을 끈질기게 추적한 조선 천문학자들은 이 별은 나타났다 사라지는 신성이나 초신성이 아니라 고정별(항성)이라 판단했습니다. 그 판단은 옳았습니다. 그 별은 신성이나 초신성이 아나라 자체적으로 별이 밝아졌다 어두워졌다를 반복하는 변광성이었습니다. 이 뿐이 아닙니다. 조선의 천문학자들은 1572년 덴마크의 천문학자 티코 브라헤가 관측한 이른바 ‘티코 초신성’도 같은 날에 보았습니다. 또한 1604년 독일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가 발견했다고 해서 ‘케플러 초신성’이라 명명된 초신성도 관측했습니다. 오히려 케플러보다 4일이나 먼저 관측하는 개가를 올렸습니다.
왜 고려·조선의 천문학은 그렇게 발전했을까요. 천문학자들은 왜 예보를 잘못하면 중한 처벌까지 받았을까요. 그렇게 목숨을 걸고 하늘을 관측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팟캐스트는 2회에 걸쳐 고려 조선의 천문학을 공부해봅니다. 151회는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입니다. 다음 주 방송인 152회는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