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여성민우회 같은 문제될 계정은 왜 팔로우 했나”…게임계 ‘페미니즘’ 사상 검증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여성민우회 같은 문제될 계정은 왜 팔로우 했나”…게임계 ‘페미니즘’ 사상 검증

게임 ‘트리 오브 세이비어’ | 넥슨 제공

게임 ‘트리 오브 세이비어’ | 넥슨 제공

게임업계에서 직원들을 상대로 ‘페미니즘 사상 검증’이 이뤄지는 등 인권 침해 행위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남성 게임이용자들이 게임업체 직원들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 등을 사찰하고, 일부 직원에 대해서는 “극단주의 페미니스트”라며 퇴출을 요구하고 있다. 게임업체들도 해당 직원 등을 상대로 면담을 진행하는 등 남성 게임이용자들의 직원 퇴출 요구에 적극 응하는 모양새다.

유명 게임개발자 김학규 IMC게임즈 대표는 지난 26일 자사 소속 원화가 ㄱ씨가 자신의 SNS 계정으로 여성인권단체인 ‘한국여성민우회’ 계정 등을 팔로우한 사실 등을 문제삼으며 “사회적 분열과 증오를 야기하는 반사회적인 혐오 논리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방지와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에 해당 원화가와 면담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김학규 IMC게임즈 대표가 올린 공지문 | ‘트리 오브 세이비어’ 게시판 캡쳐

김학규 IMC게임즈 대표가 올린 공지문 | ‘트리 오브 세이비어’ 게시판 캡쳐

앞서 IMC게임즈가 개발한 게임 ‘트리 오브 세이비어’의 이용자들은 ㄱ씨의 과거 SNS 계정 내용을 샅샅이 살핀 뒤 ‘메갈(메갈리아) 소속 원화가’라며 사측에 퇴출을 요구했다. 김 대표는 “정말로 ㄱ씨가 그런 생각을 바닥에 깔고 작업하는 사람이라면 동료로서 같이 일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겠다고도 생각했기에 어떤 입장인지 정확히 알고 싶었다”며 면담 이유를 밝혔다.

김 대표가 이날 온라인 게시판에 공개한 면담 내용을 보면, ㄱ씨는 “(여성민우회가) 예전에 문제가 되었던 생리대 문제, 성폭력과 관련된 문제를 다룬다고 생각하여 깊게 생각하지 않고 팔로잉을 한 것 같다”며 “진짜 언제 했는지도 기억도 잘 안난다”고 답변했다. 김 대표는 또 ㄱ씨에게 “‘한남’ 이란 단어가 들어간 트윗을 리트윗한 이유는 무엇인가”라고 물었고, ㄱ씨는 “그 당시 (여성 인권 관련 사건) 재판 판결이 부당하다고 생각했었기에 리트윗을 했다. ‘한남’이란 단어가 들어갔기 때문에 리트윗한 것이 아니었다”고 답했다. 김 대표는 “면담 결과, ㄱ씨는 메갈의 주장이나 가치에 대해 동의하지도 않고, 그런 활동에 동참한 적도 없는 평범한 사람이었다”며 “민감한 사회적 이슈에 대한 무지나 무관심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회사 대표가 직원을 상대로 ‘사상 검증’에 나선 셈이다.

최근 게임계에서는 ‘페미니즘 사상검증’이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게임 이용자들이 ‘여성’ 이슈를 게시한 원화가 등에 대해 ‘남성 혐오세력’이라며 ‘메갈리아’라고 낙인을 찍는 식이다. 지난 21일에는 모바일 게임 ‘소녀전선’의 신규 캐릭터를 그린 원화가 ㄴ씨가 자신의 트위터로 페미니즘 관련 이슈를 리트윗했다는 이유로 ‘메갈리아’라고 비난 받았다. 게임 이용자들의 집단 반발로 ㄴ씨가 그린 캐릭터는 현재 서비스되지 않고 있다. 온라인 게임 ‘클로저스’ 원화가 ㄷ씨도 자신의 트위터에 “일부 남성들은 아직도 구석기 시대에 산다. 정신차려라” 등의 글을 올렸다는 이유로 이용자들의 공격을 받았다. 지난 24일 ㄷ씨가 사과글을 올렸지만, 해당 게임 이용자들은 “ㄷ씨를 해고하라”며 불매운동을 벌이고 있다. 온라인 게임 ‘소울워커’도 이용자들의 항의로 원화가 ㄹ씨가 그린 캐릭터를 교체하겠다고 26일 공지했다.

김환민 게임개발자연대 사무국장은 “2016년 게임 클로저스의 성우 김자연씨가 ‘여성들은 왕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쓴 티셔츠를 입은 인증샷을 남겼다가 녹음작업에서 하차한 일이 있었다”며 “게임계에 만연한 여성혐오 문화가 단적으로 드러난 사례”라고 말했다. 김 사무국장은 “게임업체들이 이용자들의 하차 요구에 따라 계약 해지나 고용 불이익을 반복한다면 이는 개인 양심의 자유와 노동권 등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한 시민이 “게임업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성차별적인 사상검증 및 검열 행위에 대하여 조사해 달라”는 청원을 올렸다.([바로가기]▶청와대 국민청원) 그는 “여성주의 서적을 읽은 이들, 양성평등을 지지하는 이들, 남성의 범죄와 남녀차별을 비난하는 이들, 여성민우회를 팔로우하는 이들, 그리고 이 사람들에게 동의한 이들, 이 사람들과 연을 잇고, 이들에게 가해진 부당한 비난을 위로하는 이들이 모두 ‘메갈’이라는 호칭으로 비난받고 있다”며 “여성의 목소리를 지우고 위협하여 일자리를 잃게 하는 일들이, 중동의 여성차별 국가에서 여성의 얼굴을 가리는 히잡보다 무엇이 나을 게 있냐”고 지적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