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4년 만에 돌아온 ‘조지킬’…<지킬 앤 하이드> 검증된 배우와 이야기의 힘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4년 만에 돌아온 ‘조지킬’…<지킬 앤 하이드> 검증된 배우와 이야기의 힘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의 한 장면. 오디컴퍼니 제공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의 한 장면. 오디컴퍼니 제공

‘밤 검은 어둠 길 잃은 영혼/새벽은 멀고 끝 없는 밤/세상 그 무엇도 날 막을 순 없어/승리하겠어 끝내 이겨내’(지킬) ‘시끄러워 죽겠구만 뭐라 지껄여/가소로와 승리를 한다고/듣다보니 안쓰러워 네가 불쌍해/넌 나를 못 벗어나 절대’(하이드)

몸의 반쪽은 지킬, 다른 반쪽은 하이드로 분장한 배우 조승우(38)가 1~2초 간격으로 몸을 돌려가며 ‘대결’을 부르기 시작했다. 긴장이 최고조에 달한 순간이었다. 흰 조명이 지킬의 얼굴을 비출 땐 선하고 맑은 목소리, 녹색 조명이 하이드의 얼굴을 비출 땐 가래가 끓는 듯 거친 음색이었다. 관객은 모두 숨을 죽였고, 시선은 눈 앞의 남자에게 쏠렸다. 시선의 끝엔 어느새 조승우가 아닌 두 개의 자아가 충돌해 괴로움에 휩싸인 한 남자, 선과 악이 공존하는 지킬과 하이드만이 있었다.

2일 오후 서울 송파구 잠실 샤롯데시어터는 4년 만에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로 돌아온 조승우를 보기 위해 극장을 찾은 관객들로 북적였다. 이들의 얼굴엔 피를 튀기는 듯 치열한 티켓팅, 일명 ‘피켓팅’에서 승리했다는 미소가 가득했다.

<지킬 앤 하이드>에 대한 한국 관객의 애정은 각별하다. 누적 공연 횟수 1100회·누적 관객 수 120만 명·평균 유료 객석 점유율 95% 등 압도적인 기록이 이를 증명한다. 영국 소설가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단편소설을 원작으로 한 뮤지컬은 2004년 한국 초연을 시작했다. 독일·일본·스웨덴 등 10여개국 무대에 올랐지만, 한국에서 유독 큰 성공을 거뒀다.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의 한 장면. 오디컴퍼니 제공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의 한 장면. 오디컴퍼니 제공

한국 관객이 <지킬 앤 하이드>에 매료된 이유를 두고 한국 가요의 질감을 지닌 작곡가 프랭크 와일드혼의 서정적인 멜로디, 신파적이고 극적인 이야기 등 여러 분석이 뒤따랐다. 그 중 가장 고개를 끄덕이게 한 건 상반된 두 자아를 드라마틱하게 표현하는 조승우라는 배우의 힘이 관객에게 호소했다는 분석이다. ‘조지킬(조승우+지킬)’이라는 별명이 거품이 아니었음을 그는 매 공연 완벽에 가까운 연기로, 관객들은 전석 매진 행렬로 입증했다.

이번 공연은 이런 평가에 더욱 힘을 싣는다. 데뷔 18년차를 맞이한 조승우는 ‘물 오른’ 연기로 그 명성을 더 공고히 했다. 뮤지컬 공백기 <비밀의 숲>의 황시목, <라이프>의 구승효, <명당>의 박재상 등으로 감정이 절제된 캐릭터를 선보여온 그는 이번 무대에서 절정의 감정선을 폭발시키며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공간감이 더해진 다이아몬드형 무대 역시 배우에게 온전히 시선을 집중하는 데 최적화됐다. 5m 높이로 층층이 쌓아올린 시험관, 시약병이 무대를 가득 메우는 지킬의 실험실도 눈길을 끄는데, 총 1800개 가량의 매스실린더가 쓰였다.

<지킬 앤 하이드>는 단순히 배우 브랜드에만 의존한 작품은 아니다. 이미 검증된 강렬한 이야기와 호소력 짙은 넘버는 고전의 명성을 입증한다. 극은 한 사람에게 존재하는 두 가지 상반된 인격인 지킬과 하이드를 통해 사회풍자와 인간 본성에 대한 근원적 고민을 선사한다. 올해는 어느 때보다 사회의 부조리와 인간의 이중성을 드러낸 사건이 많았던 해인 만큼 그 울림이 더 묵직하다.

<지킬 앤 하이드>는 오는 5월19일까지 샤롯데시어터에서 공연한다. 조승우 외에 홍광호, 박은태가 지킬·하이드 역을 맡았고, 레드랫의 쇼걸 ‘루시’ 역은 윤공주·아이비·해나, 지킬의 약혼녀 ‘엠마’ 역은 이정화·민경아가 맡았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