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산불 피해 ‘눈덩이’ 피해면적 3배 늘어…산림청 조사·복구 나서

이종섭·최승현 기자

강원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던 산불 피해면적이 당초 집계됐던 것 보다 3배 이상 늘어났다. 산림청은 정확한 피해조사에 착수했다.

산림청은 지난 4일 강원 고성·속초, 강릉·동해, 인제에서 발생한 산불로 5개 시·군에서 모두 1757㏊(잠정치)의 산림이 불에 탄 것으로 분석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산불 진화 직후 피해면적이 전체 530㏊로 잠정 집계됐던 것 보다 3.3배 가량 많은 것이다. 당초 피해면적은 고성·속초와 강릉·동해가 각 250㏊, 인제는 30㏊로 집계됐었다.

강릉·동해 산불 피해지역 아리랑3호 위성사진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강릉·동해 산불 피해지역 아리랑3호 위성사진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하지만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아리랑 3호 위성영상으로 피해지 면적을 분석한 결과 고성·속초는 700㏊, 강릉·동해는 714.8㏊가 불에 탔고, 인제도 10배 이상 많은 342.2㏊가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확한 피해면적은 산림청 주관으로 진행되는 현장조사를 통해 확정될 예정이다. 산림청이 범정부 수습대책으로 ‘산림분야 조사·복구 추진단’을 구성해 진행하는 산림분야 피해 조사는 오는 19일까지 열흘 간 진행된다.

고성·속초 산불 피해지역 아리랑3호 위성사진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고성·속초 산불 피해지역 아리랑3호 위성사진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산림청은 피해지역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위성영상 분석 자료와 드론 등을 활용해 피해 조사를 벌인 뒤 신속하게 2차 피해방지를 위한 응급·항구 복구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우선 주택지나 도로변 등 생활권과 관광지에 대해서는 긴급복구 조림을 하고, 집중호우에 의한 토양유실 등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에 사방시설 등을 설치해 재해발생 원인을 제거하는 등 연내 응급복구를 마칠 예정이다.

인제 산불 피해지역 아리랑3호 위성사진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인제 산불 피해지역 아리랑3호 위성사진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또 항구복구는 정밀 조사 후 기후·토양 등 자연환경과 산림기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내년부터 연차적으로 복구 조림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김재현 산림청장은 이날 산불 피해지역을 방문해 이 같은 조사·복구 계획을 밝히며 “이번 산불 대처에서 드러난 문제점이 있다면 개선책을 마련하고, 향후 대형산불 발생 시 조기 진화를 위해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Today`s HOT
2025 도쿄 오토 살롱 말레이시아-일본의 상호 보완 관계 회담 캘리포니아 산불 희생자 특별 미사.. 2025 앨비스 페스티벌
이집트의 귀중한 유적지, 복원 작업을 하다. 구 격전지의 시리아 지역.. 활기를 되찾는 사람들
티베트의 지진으로 촛불 집회에 나선 사람들.. 레바논의 새 대통령, 조셉 아운의 취임식
규모 6.8의 대지진이 일어난 중국에서의 구호 활동 필리핀에서 열린 검은 나사렛의 종교 행렬 대만 해군의 군사 훈련 안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프랑스를 방문하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