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때마다 불려나오는 청년들…여야 ‘필요할 때만 이용’ 행태 반복
내용 없는 정책, ‘쇼’ 모방 공천 등
“청년 이해 못하는 현실부터 개선”
내년 총선이 다가오면서 다시 청년이 정치권에 소환되고 있다. 하지만 여야의 청년정치에 ‘청년은 없다’. 청년정치인들은 “청년의 정치도, 청년에 의한 정치도, 청년을 위한 정치도 없다”고 평가한다. 필요할 때만 소비하는 기성 정치권에 대한 청년들의 외침은 현재진행형이다.
여야가 청년에 주목하고 적극적으로 영입에 나선 것은 2012년 19대 총선부터다.
2010년 지방선거와 2011년 재·보궐선거에서 무상급식·반값 등록금·일자리정책 등 20~30대 의제가 분출한 뒤 이어진 19대 총선에서 젊은 세대를 직접 ‘등판’시킨 것이다.
당시 여야는 TV 오디션 프로그램인 <슈퍼스타K>를 모방해 공개경쟁을 시키면서 청년 영입전에 나섰다. 하지만 청년정치 취지와 무색하게 현실은 ‘돈’과 ‘백그라운드’(줄타기) 선거가 난무했다. 어렵사리 여의도 관문을 통과한 청년정치인은 각당에서 1~2명 정도에 불과했고, 그마저도 명맥을 잇지 못했다. 청년정책은 전체 정치 속에서 자리 잡지 못한 채 청년정치인들에게만 떠넘겨졌다. 청년 관련 입법, 청년층의 요구는 공전을 거듭했다.
21대 총선을 5개월여 앞둔 지금, 여야는 어느 때보다 뜨거운 시선으로 청년을 바라보고 있다. ‘조국 대전’의 후폭풍 때문이다. 청년층은 ‘공정·평등·정의’를 외치며 기성 정치권에 분노를 쏟아내고 있다.
청년정치인들은 아예 ‘청년정치’라는 단어를 거부한다. 더 이상 들러리로 소비되는 청년정치를 거부하겠다고 선언한다. ‘세대정치=청년정치’를 깨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소희 미래당 공동대표는 “청년정치라고 하면 아직도 대학등록금 문제, 학자금 대출 문제 정도만 생각한다”며 “청년의 시각도 이해하지 못하면서 청년세대를 얼굴마담으로만 활용하는 현실부터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향신문은 이번 ‘청년’ 없는 ‘청년정치’ 기획을 통해 ‘당사자 정치’로 가둬버린 여야 청년 공천 실태를 살펴봤다. 정치권이 ‘쓰고 버린’ 청년들을 통해 중진다선 의원과 86그룹 정치인들의 용퇴 등 세대교체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들었다. 20조원 이상 들인 청년정책과 입법이 정작 ‘알맹이’ 없는 내용이라는 뼈아픈 현실도 들여다봤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여전히 보여주기식 ‘오디션’에 그치고 있는 청년 공천 문제점을 청년들의 목소리로 직접 들어보는 기회도 마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