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김용균이 있었다

오늘도 3명이 퇴근하지 못했다

황경상 기자

노동자들 사망 원인 되짚어서 기억하다

경향신문, 1355명 전수조사

[매일 김용균이 있었다]오늘도 3명이 퇴근하지 못했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산업재해 사망률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그러나 통계는 추상적이다. 왜 노동자가 일하다가 죽었는지 잘 알려지지도 않을뿐더러, 보도되더라도 금세 잊힌다. 매일 ‘김용균’이 있었고, 내일도 ‘김용균’이 있을 것이지만 한국 사회는 노동자의 죽음에 무감각해졌다.

경향신문은 2016년부터 올해 9월 말까지 고용노동부에 보고된 중대재해 발생 현황 목록을 정보공개청구로 입수했다. 사고 원인을 더 자세히 들여다보기 위해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실을 통해 지난해부터 올해 9월 말까지 발생한 사고성 사망 재해에 대해 산업안전보건공단이 작성한 조사 의견서 전량을 확보했다. 총 1305건에 1355명이다. 이를 토대로 노동자 한 사람, 한 사람의 이름과 나이 등을 확인하고 죽음에 이르게 된 과정을 구체적으로 되짚었다. 파편화되고 기억되지 못하는 죽음을 한데 모아 추모한다는 의미도 담았다.

일반적으로 산재 사망은 ‘사고’와 ‘질병’으로 나뉜다. 2018년 한 해 2142명의 노동자가 사망했다. 이 중 사고 사망자는 971명, 질병 사망자는 1171명이다. ‘하루 6명이 죽는다’는 말의 근거가 되는 통계다. 다만 산재 통계는 해당 사고가 산재로 인정받고 유족급여가 지급된 날을 기준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지난해 사망했더라도 올해 사망자로 편입될 수 있다. 산재보험 사각지대에 있는 특수고용노동자·1인 자영업자의 사망, 은폐된 사망 등은 여기서 제외된다.

경향신문은 현장에서 벌어지는 노동자들의 죽음을 있는 그대로 기록하기 위해 중대재해 보고에 주목했다. 중대재해 보고는 사고 중심이다. 질병 사례는 분석이 어렵지만 사망 원인이 좀 더 명확하고 강력한 대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1면의 이름은 지난해부터 올해 9월까지 떨어짐, 끼임, 깔림·뒤집힘, 부딪힘, 물체에 맞음 등 주요 5대 원인으로 사망한 노동자들이다. 김용균처럼 알려진 고인 외에는 성씨만 적었다. 외국인은 알파벳 첫 자나 한글 발음 첫 글자로 표기했다. 경향신문 인터랙티브 사이트(news.khan.co.kr/kh_storytelling/2019/labordeath/) 에서 이들의 죽음을 더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다.


Today`s HOT
아티스트들이 선보인 SF 테마 디스플레이 인도 원주민 문화의 전통이 보이는 혼빌 페스티벌 시리아의 정권 붕괴 이후 이스라엘의 계속되는 공습 성차별 반대의 목소리, 거리로 나온 케냐 활동가들
양국 간의 협력을 도모하는 쿠바와 토고 말리부 화재를 진압하는 헬리콥터와 소방대원들
나이지리아에서 이루어지는 말라리아 백신 접종 스웨덴에서 열린 노벨 시상식에 참석한 한강 작가
이탈리아 연료 창고에서 일어난 화재 가나 대선에 당선된 존 드라마니 마하마 대통령 휴일에 보이는 조명과 불빛 조형물의 모습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국제 인권의 날' 집회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