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입장을 금지하는 공간을 뜻하는 ‘노키즈존(No Kids Zone)’은 주로 음식점이나 카페 등의 업소에 사용된다. 보호자와 아이의 실루엣, 혹은 ‘Kids’라는 단어에 빨간 사선을 그은 ‘아이 출입금지 표지판’이 연관이미지로 함께 검색된다. 이 신조어는 2014년 무렵 언론에 등장했다. 5년이 지난 2019년 현재 구글을 검색하면 400곳가량의 노키즈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노키즈존 증가와 함께 논란도 확산됐다. 2017년 국가인권위원회는 “노키즈 방침은 나이를 이유로 한 합리적 이유가 없는 차별행위”라며 시정을 권고했지만, 논란은 현재까지도 진행형이다. 노키즈존에 저항해 눈치 보지 않고 당당하게 아이들을 데리고 갈 수 있는 ‘예스키즈존’을 제목으로 내건 책까지 나올 지경이다.
최근엔 노키즈존을 넘어, 그 아류인 노키즈관 논란까지 뜨겁다. 아이들이 많이 찾는 디즈니 애니메이션 <겨울왕국2>가 지난 21일 개봉한 이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아이들에게 방해받지 않고 영화를 볼 수 있는 ‘노키즈관’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한다. 이에 대해 노키즈관은 “아동혐오” “약자에 대한 차별”이라는 반박이 이어지며, 지난 주말엔 트위터 실시간 검색어 수위에 ‘#아동혐오’가 오르기도 했다.
불과 한 세대 전만 해도 남녀노소가 함께 보던 동네 서커스 극장에선 아이 울음이 들리면, “○○엄마 애 배고픈가봐, 젖 주고 와”라는 말과 함께 따뜻한 웃음이 번지는 사회였다. 앞으로 우리 사회는 어디로 갈까. 머지않아 버스, 지하철, 비행기에도 노키즈존을 만들자는 논의가 시작될지 모른다. 차별과 배제는 전염병처럼 확산되기 쉽다. 어느 날 갑자기 40세, 50세 이상 출입금지 ‘노시니어존’, 또 다른 많은 ‘노○○존’이 등장한다고 화내지 마시라. 이미 서울 일부 지역에선 이런 곳이 생겨나고 있다고 한다.
두 팔 벌려 환대하기는커녕, 운다고 시끄럽다고 엄마까지 싸잡아 ‘맘충’이라 비난하고, 곳곳에 ‘노키즈존’을 만들어 밀쳐내고, 어딜 가도 눈치 보고 주눅 들도록 만드는 사회에 아이들이 과연 오고 싶을까. 노키즈존, 노키즈관 요구 속에 아기 울음도 끊어질 것 같아 걱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