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대한항공, 등기 사내이사 평균보수가 133억?…삼성전자는 30억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대한항공, 등기 사내이사 평균보수가 133억?…삼성전자는 30억

입력 2020.04.02 10:02

지난해 국내 100대 상장사 최고경영자(CEO)급 등기 사내이사의 평균 보수는 7억6000만원으로 미등기 임원보다 3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등기 사내이사의 평균 보수가 가장 높은 곳은 삼성전자, 미등기임원 평균 보수가 가장 높은 기업은 SK하이닉스다.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가 2일 국내 주요 상장사 100곳이 최근 공시한 사업보고서로 등기 사내이사와 미등기임원 보수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CEO급 사내이사 1명당 평균 보수는 7억6590만원이라고 밝혔다. 100곳 중 25곳은 CEO급 사내이사 평균 보수가 10억원 이상이었다.

대한항공, 등기 사내이사 평균보수가 133억?…삼성전자는 30억

지난해 경우 CEO급 사내이사 보수가 가장 높은 회사는 대한항공이었다. 대한항공은 등기 사내이사 4명에게 총 532억원을 지급, 1인당 평균 보수가 133억원이었다. 다만 이는 고 조양호 회장의 퇴직금을 포함한 보수 510억원이 반영된 영향이 컸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사내이사 4명에게 약 120억원의 보수를 지급해 1인당 평균 보수가 30억원 수준이었다.

사내이사 보수는 김기남 대표이사 부회장(34억5100만원), 이상훈 전 이사회 의장(31억3500만원), 고동진 대표이사 사장(28억2800만원), 김현석 대표이사 사장(25억7800만원) 순이었다.

다음으로는 LG전자(26억1800만원), GS건설(26억700만원), 현대자동차(22억500만원) 등 3곳이 CEO급 사내이사 1인당 평균 보수가 20억원을 넘었다.

이어 두산인프라코어(19억6900만원), SK텔레콤(18억4900만원), CJ제일제당(18억2300만원), 삼성카드(17억6000만원), 미래에셋대우(16억8200만원), 네이버(14억8900만원) 순이다.

대한항공, 등기 사내이사 평균보수가 133억?…삼성전자는 30억

한편 CEO급 등기 사내이사와 미등기 임원의 보수 차이는 약 3배다. 미등기 임원 1인당 평균 보수는 2억6690만원으로 조사됐다.

SK하이닉스 미등기임원의 평균 보수가 6억600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임원 180여명에게 보수 총 1200억원을 지급했다.

GS건설 미등기 임원 평균 보수는 6억5400만원, 삼성전자 6억1700만원, 이마트 5억5400만원, LG유플러스 5억1500만원, LG전자 5억700만원, LG생활건강 5억600만원 등 순이었다.

업종별로 CEO급 등기임원과 미등기임원의 보수 격차가 차이를 보였다.

전자업계는 CEO급 등기임원 1인당 평균 보수와 미등기임원 평균 보수가 3.8배 차이가 났다. 정보통신업계에서는 4.4배였고, 금융업계에서는 3.6배 격차를 보였다. 전기·가스업종에선 격차가 1.4배로 크지 않았다.

오일선 CXO연구소장은 “지난해부터 미등기 임원 보수도 별도 공시하도록 규정이 바뀌어 등기임원과 일반 임원의 보수 격차를 파악할 수 있게 됐다”며 “CEO 보수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높이려면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지급하는 기업 문화가 확산돼야 한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