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올해 2~4분기 만기도래 회사채 37조원...2분기에만 40%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올해 2~4분기 만기도래 회사채 37조원...2분기에만 40%

입력 2020.04.08 10:38

올해 안에 앞으로 만기가 돌아오는 국내 500대 기업의 회사채 규모가 37조46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40% 수준인 14조7545억은 2분기에 갚아야 한다. 공사채와 금융채를 뺀 일반 회사채 가운데는 두산중공업과 호텔롯데 등의 만기도래 규모가 컸다.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는 8일 국내 500대 기업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는 334개 기업 가운데 234곳의 지난해 말 기준 회사채 현황을 조사한 결과 총 300조744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334개사 가운데 회사채를 발행하지 않은 80개사와 세부 명세가 일치하지 않은 20곳은 제외됐다.

이들 회사채 가운데 연내(4∼12월) 만기가 도래하는 회사채는 37조4607억원이다. 연내 만기가 되는 회사채 중 39.4%(14조7545억원)는 6월 말까지 상환해야 한다. 12조3146억원은 3분기에, 10조3916억원은 4분기에 갚아야 한다.

21개 업종 가운데 6월 말 만기도래 회사채 규모가 가장 큰 업종은 공기업으로 3조5262억원이다. 석유화학(1조2930억원)과 조선·기계설비(1조2570억원), 여신금융(1조2300억원) 등도 1조원이 넘었다.

이어 유통(9853억원), 증권(7100억원), 서비스(6500억원), 식음료(6280억원), 건설 및 건자재(6272억원), 자동차 및 부품(5820억원), IT·전기전자(5819억원), 상사(4600억원), 지주(4500억원), 철강(4200억원), 운송(4137억원), 생활용품(3701억원), 에너지(2700억원), 제약(1400억원), 통신(1100억원) 등의 순이었다.

기업별로는 한국전력공사의 6월 말 만기 채권이 1조44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한국동서발전(6789억원), 두산중공업(6720억원), 하나카드(4700억원), 한국남동발전(4273억원), 삼성카드(4100억원), NH투자증권(4000억원), 롯데캐피탈(3500억원), 호텔롯데(3019억원) 등이 ‘톱10’에 꼽혔다.

다만, 초우량채로 분류되는 공사채와 사업 특수성에 따라 자금조달 규모가 큰 여신금융 등 금융채를 제외한 일반 회사채 만기도래 규모로는 두산중공업이 최다였다.

이어 호텔롯데과 SK네트웍스(2800억원), 현대제철(2700억원), LG디스플레이(2600억원), 기아자동차·호텔신라(각 2500억원), 롯데쇼핑·대한항공(각 2400억원), 롯데렌탈·LG CNS(각 2300억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500대 기업 가운데 올해 갚아야 할 회사채가 없는 기업은 모두 130개사였다.

사채 발행 내역이 없는 기업은 현대모비스와 현대글로비스, 한국조선해양, 네이버, 두산밥캣, KT&G, 효성티앤씨, 농심, 넷마블, 한샘, 종근당 등 80개 사로 조사됐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