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상장사 5곳 중 1곳, 작년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아”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상장사 5곳 중 1곳, 작년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아”

입력 2020.04.09 10:13

지난해 국내 상장기업 5곳 중 1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내는 ‘한계기업’으로 드러났다. 3년 연속 한계기업은 2년 사이 2배나 늘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2015∼2019년 매출액 데이터가 모두 있는 상장기업 685곳 가운데 지난해 20.9%(143곳)는 ‘이자보상배율’이 1보다 작은 한계기업으로 조사됐다고 9일 밝혔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 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1보다 작으면 영업이익이 이자 비용보다 작다.

“상장사 5곳 중 1곳, 작년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아”

한경연은 한계기업 수가 2016년 94개에서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 최다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3년 연속으로 한계기업인 곳은 2017년 28개에서 작년 57개로 2배 늘어났다.

한계기업 증가는 매출은 정체 상태인데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해 기업들의 수익성이 줄어든 결과로 분석됐다.

작년 상장기업 매출은 1152조8000억원으로 전년(1190조3000억원)보다 3.2%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55조5000억원으로 전년(111조3000억원)보다 50.1% 감소했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2018년 9.4%에서 지난해 4.8%로 절반가량 줄었다.

상장기업 685곳의 현금성 자산은 지난해 131조7000억원으로 전년보다 7.3% 감소했다.

상장사 절반이 넘는 51.8%(355곳)의 현금성 자산이 줄면서 전체 상장기업 현금성 자산이 2년 연속 감소했고, 감소 폭도 전년(-3.2%)보다 커졌다.

기업의 자산 대비 현금보유 비중인 현금자산 비율도 2016년 9.3%에서 계속 감소해 지난해 7.6%를 기록했다. 이는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감소한 것이 원인이라고 한경연은 꼽았다.

기업들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지난해 102조6천억원으로 전년보다 25.5% 감소했다. 이는 최근 5년 중 가장 적은 수치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줄어든 313개 기업 중 적자를 기록한 기업은 133개로 전체 상장사의 19.4%를 차지했다.

“상장사 5곳 중 1곳, 작년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아”

현금흐름 부족으로 기업들이 투자금을 외부조달에 의존하면서 갚아야 할 순차입금은 늘었다. 총차입금에서 현금성 자산을 뺀 순차입금은 236조9000억원으로 전년보다 38.4% 증가했다.

한경연은 차입금은 증가하는 데 반해 현금 유입은 줄어들어 기업들의 재무 부담이 가중됐을 것이라고 풀이했다.

상장기업이 보유한 평균 재고자산은 지난해 99조9000억원이었다. 재고가 매출로 반영되는 속도인 ‘재고자산 회전율(매출÷평균 재고자산)’은 11.5회로 2017년 14.3회 이후 2년 연속 감소했다. 재고자산이 매출로 이어지는 평균일수는 31.7일로 2017년 25.5일에서 2년 만에 1주일가량 늘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만성적 한계기업이 증가한 상황에서 코로나19 경제 위기로 인해 한계상황까지 내몰리는 기업은 더 늘어날 전망”이라며 “존립의 기로에 선 기업이 위기를 버텨낼 수 있도록 자금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