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미등기 임원 연봉 1위 엔씨소프트, 지난해 평균 11억원...업계 평균은 3.3억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미등기 임원 연봉 1위 엔씨소프트, 지난해 평균 11억원...업계 평균은 3.3억

입력 2020.04.12 10:50

국내 500대 기업 가운데 총수 일가를 제외하고 미등기 임원의 연봉이 가장 높은 곳은 11억원인 엔씨소프트로 나타났다. 이는 500대 기업 평균보다 7억7000만원이나 더 많다.

12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국내 500대 기업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하고 미등기 임원의 평균 연봉을 알 수 있는 338곳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지난해 미등기 임원(총수 일가 제외) 1만567명의 연봉 총액은 3조5600억원으로 1인 평균은 3억3690만원으로 집계됐다.

22개 업종 중에서는 정보기술(IT)·전기전자가 평균 4억993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통신(4억4230만원), 서비스(4억1780만원) 등도 4억원이 넘었다.

반면 임원 평균 연봉이 가장 낮은 곳은 공기업(1억6420만원)이었고 제약(2억250만원)과 운송(2억1460만원), 여신금융(2억1790만원)도 상대적으로 낮았다.

개별 기업 중 미등기 임원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곳은 엔씨소프트로 11억780만원으로 조사됐다. 2위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7억7500만원)과 3억3280만원의 격차를 보였다.

이는 배재현 엔씨소프트 부사장의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차익 144억원이 포함된 영향이 컸다.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역시 임원의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이익이 반영되고 신한금융지주 자회사 편입에 따른 특별 보너스가 포함됐다.

다음으로 메리츠종금증권 7억7350만원, SK하이닉스 6억4670만원이었다. 재계 1위 삼성전자는 6억1700만원으로 5위를 기록했다.

이어 GS건설 6억1120만원, E1 5억7500만원, 넷마블 5억4800만원, GS홈쇼핑 5억3000만원, SK이노베이션 5억1700만원 등이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반대로 국도화학(8100만원), 사조대림(8800만원), 한진중공업(9800만원)은 미등기 임원 평균 연봉이 1억원에 못 미쳤다.

전년보다 임원 평균 연봉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으로 2억6800만원에서 7억7500만원으로 5억700만원(189.2%) 급증했다.

이어 GS건설 2억9680만원(94.4%), 코웨이 2억6250만원(115.2%), E1 2억1000만원(57.5%), SK종합화학 2억400만원(76.7%), 아이에스동서 1억6680만원(109.5%), GS홈쇼핑 1억5200만원(40.2%), SK실트론 1억2000만원(37.2%), 하나은행 1억1700만원(33.7%), 현대엔지니어링 1억600만원(30.5%) 등이 1억원 이상 늘었다.

미등기 임원 연봉 순위에도 변화가 있었다. 엔씨소프트가 2년 연속 1위를 기록한 가운데 지난해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GS건설, E1, GS홈쇼핑이 미등기 임원 연봉 ‘톱10’에 새로 진입했다. 반면, 한국씨티은행과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포스코, 한국투자증권이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