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으로 올해 중국의 원격근무 시장 규모가 지난해의 2배로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베이징지부는 16일 ‘코로나19로 주목받는 중국의 언택트 산업’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 방역 기간 재택근무가 늘면서 올해 시장 규모가 449억위안(7조7335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18년 117억위안의 3.8배, 지난해 추정치 229억위안보다 2배 늘어난 수치다. 중국의 원격근무 이용률은 2018년 0.6%로 미국 18.9%, 영국 12.8% 등에 크게 못 미친다.
그러나 최근 중국에서도 원격근무, 온라인교육, 원격진료, 신선식품 온라인 구매 등 비대면 기반의 언택트 산업 수요가 늘면서 유망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올 3월 알리바바의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딩톡(釘釘)’은 하루 최대 1억명 이상이 2000만 건의 화상회의를 이용하는 등 서비스 수요가 급증하면서 약 1000명 근로자를 추가 모집한다고 발표했다.
또 중국에서는 춘제(중국 설) 연휴 이후 개학이 연기되고 학원들이 문을 닫으면서 온라인 교육서비스가 오프라인을 대체하고 있다. 중국 최대 교육 서비스 기업 신동방은 1월 말부터 모든 강의를 온라인으로 전환해 97만명 이상이 온라인 수업에 참여했다고 발표했다.
원격진료 서비스는 더 탄력받을 것으로 보고서는 예상했다. 올해 춘제 기간 중국 주요 온라인 의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진료를 받은 이용자는 하루 최대 671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0% 이상 증가했다. 지난해 중국의 원격의료 시장 규모는 190억위안으로 2015년 대비 4배 이상 증가했다.
야채·수산물 등 오프라인 매장 구매 비중이 상대적으로 컸던 신선식품의 온라인 구매도 크게 늘고 있다.

보고서는 “메이르유셴(每日優鮮·텐센트), 징둥다오자(京東到家·징둥닷컴), 허마셴성(盒馬鮮生·알라바바) 등 주요 플랫폼을 중심으로 춘제 연휴 매출이 예년보다 3∼4배 이상 늘어나는 등 외식과 오프라인 매장 쇼핑을 점차 대체하는 추세”고 소개했다. 이어 “앞으로도 이런 경향이 지속할 것으로 보여 한국 기업은 온라인 플랫폼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현지 시장에 참가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민영 무협 베이징지부장은 “과거 온라인 쇼핑 등 소비자 대상(B2C)으로 시작된 언택트 산업이 기업 간 거래(B2B)를 비롯해 사회 전반으로 확대될 것”이라며 “앞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각종 무인 서비스, 홈 엔터테인먼트 등 분야의 발전과 더불어 언택트 산업이 일상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