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국제공항에서 해군 방역요원들이 24일(현지시간) 방역작업을 하고 있다. 리우데자네이루 | AFP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국면에 ‘지구의 허파’인 브라질 아마존에선 삼림 파괴가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염병 차단 조치로 인해 단속이 소홀해진 틈을 타 불법 금광개발과 삼림벌채가 빈번해진 것으로 전해졌다. 코로나19로 공장 등이 멈춰서면서 세계 곳곳의 대기질이 개선됐다는 보고가 잇따르고 있지만, 아마존에선 정반대의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브라질 국립우주연구소(INPE)의 인공위성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아마존 열대우림 파괴율은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했다. 올해 1~3월 아마존 삼림 벌채 면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1%나 늘어난 796㎢다. 이는 코로나19 발병에도 숲 파괴가 계속됐음을 의미한다. 아예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22일(현지시간) “코로나19로 인해 삼림 파괴가 더 가속화했다”고 전했다.
특히 지난달 27일 브라질 정부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60세 이상의 공무원들에 재택근무 명령을 내린 후 아마존 삼림 보호 업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WSJ는 지적했다. 당장 정부 산하기관인 ‘브라질 환경·재생가능 천연자원 연구소’(Ibama)의 경우 현장 요원 3분의 1이 재택근무 대상이다. 이 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WSJ에 “15명의 팀원 중 현재 7명의 동료와 일하고 있다”며 자신의 팀이 론도니아주(약 23만㎢) 전체의 삼림 벌채를 감시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고 했다. 한반도(약 22만㎢)와 비슷할 정도로 넓은 면적이지만, 절반이 현장 업무를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Ibama와 또 다른 정부 기관인 ‘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치코 멘데스 기구’의 전체 직원은 6943명인데, 이중 23%가 재택근무 대상인 60세 이상이다.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은 지난해 1월 집권 후 광산개발·벌목업자들에 우호적인 정책을 펴왔고, 정부의 예산 삭감으로 관련 기관 직원들이 고령화하는 데도 인력 충원은 이뤄지지 않았다. 보우소나루 대통령의 반환경적 정책 부작용이 코로나19국면에 나타난 것이다.
게다가 코로나19 여파로 안정자산으로 꼽히는 금값이 치솟으면서 아마존 광산개발을 부채질하고 있다. 광산개발·벌목업자들의 원주민 거주지역 침입이 늘어나면서 원주민들의 코로나19 감염 위험도 높아졌다. 22일 브라질 사회환경연구소에 따르면 코로나19에 감염된 아마존 원주민은 최소 27명이고, 이중 3명이 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