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겨우 살아남은 젊은 사람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겨우 살아남은 젊은 사람들

어느 작은 마을에서 18년째 아기가 한 명도 태어나지 않았다. 그 마을의 초등학교는 7년 전 두 명의 졸업생을 내보낸 것을 마지막으로 폐교됐다. 어린이가 없는 마을은 텅 빈 우물 같았다. 마을에 사는 할머니 한 분이 바느질해서 인형을 만들고 폐교의 책걸상을 닦은 뒤 인형을 교실에 앉히기 시작했다. 그리고 마흔 개가 넘는, 어린이 몸집만 한 인형들과 함께 운동회를 열었다. 70대와 80대의 주민들은 인형들의 손을 잡고 계주를 벌이기도 했다. 일본 남부 시코쿠섬의 산골마을 나고로에서 작년에 열린 인형들의 운동회 이야기다. 이 인형을 만든 일흔 살의 쓰키미 아야노는 마을에서 어린이를 못 보는 것이 안타까워 인형 아이라도 만들었다고 한다. 기이할 정도로 슬픈 장면이다.

김지은 서울예대 문예학부 교수 아동문학평론가

김지은 서울예대 문예학부 교수 아동문학평론가

얼마 전 한 초등학교에 갈 일이 있었다. 방과 후 교실이며 운동장에서 시끌시끌한 소리가 들려올 시간인데 당연히 한 명의 어린이도 만날 수 없었다. 플라스틱 칸막이를 치고 띄엄띄엄 놓은 책상에는 이곳의 주인들이 스쳐간 흔적만 남아 있었다. 그중에는 학교에 있는 시간이 유일하게 웃을 수 있는, 가장 안전한 시간인 어린이도 있을 것이다. 어떤 어린이에게는 집과 가족이 무섭다. 꼭 그렇지 않더라도 집에 있음이 어린이의 안전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초등학생을 겨눈 온라인 성착취 범죄에 우리 사법제도가 얼마나 무력하게 대처하는 중인가는 더 말하지 않겠다. 그럼에도 어린이들은 약속을 잘 지키면 나아질 거라는 강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 어른들은 해답을 알고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가족과 사회에 대한 기대를 쉽게 접지 않는다. 편의점에서 만난 이웃집 어린이에게 건강을 묻자 “우리 집 비누가 정말 큰데, 제가 요새 비누를 맨날 씻어줘서 비누가 완전 작아졌어요. 여름방학 동안 마스크 잘 쓰면 가을에 축구교실 하겠지요?”라고 되묻는다. 눈이 너무 많이 웃어서 마스크를 썼지만 웃음이 다 새어나왔다. 그 질문에는 대답하지 못했다.

29일 통계청이 인구동향을 발표했다. 출생은 계절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전년도 같은 달과 비교하는데 올해 5월의 출생아는 작년 5월보다 2359명, 9.3%가 줄었다. 5월의 혼인 건수는 21.3% 감소해 1981년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가장 낮다. 코로나19의 영향도 있지만 20·30대 인구 자체가 급격히 줄었다. 그들의 일자리는 도시에 나가야 있는데 도시에는 누가 살까? 돈들이 살고 있다. 몇 번이고 환생하면서 백 년을 일해서 받은 돈을 모두 저금해도 입주할 수 없는 어마어마한 가격의 집들이 대도시에 가득 살고 있다. 돈이 집주인이어서 돈을 낳아야만 집에 들어갈 수가 있는지 사람은 도무지 거기 들어갈 수가 없다. 그 집들은 “우리들의 가격은 내일 더 오를 것이다. 영원히 떨어지지 않는다”고 다투어 외치는 중이다.

견딜 수 없는 고통스러운 현실을 고발하고 겨우 살아남았다고 말하는 젊은 사람들의 목소리가 들릴 때마다 생각한다. 원래 이런 대사는 백발의 인물이나 할 법한 것이다. 어린이와, 청소년과 생존이라는 낱말은 어울리지 않는다. 그런데 절규가 끊이지 않는다. 절벽 같은 재난을 겪는 연령이 끝없이 낮아진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어린이가 왜 없을까를 물을 것이 아니라 우리가 어린이를 차곡차곡 없애고 있다는 걸 알아야 한다. 소설 <유원>은 생존자의 죄책감을 다룬다. 주인공인 고등학생 유원은 12년 전 고층 아파트 화재 현장에서 친언니와 모르는 아저씨의 희생으로 우연히 목숨을 건졌다. 그는 자신을 둘러싸고 세상 사람들이 던지는 ‘희망’ ‘기적’ ‘빛’과 같은 단어를 볼 때마다 “세계 전체에 희박한 것들을 굳이 내게서 찾으려는 시도가 폭력적으로 느껴진다”고 말한다. 올이 풀린 스웨터를 쓰다듬어 보았자 끊고 제대로 맺는 과정이 없다면 파국이 기다릴 뿐이다. 인형들의 운동회를 준비하는 것이 이 사회의 목표가 아니라면 자신에게도 없는 ‘희박한 것’이나 엉뚱한 죄책감을 다음 세대에게 요구할 것이 아니라 살아남았다고 말하는 젊은 사람들의 말을 경청하고 따라야 한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