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에 대응하려면 전체 맥락을 알아야

윤여경 디자인팀 기자
샤를 미나르가 구성한 ‘나폴레옹의 모스크바 침공(1812~1813년)’.

샤를 미나르가 구성한 ‘나폴레옹의 모스크바 침공(1812~1813년)’.

정보그래픽은 한눈에 직관적으로 사태를 파악하게 해준다. 1869년 프랑스 도시공학자였던 샤를 미나르가 구성한 ‘나폴레옹의 모스크바 침공(1812~1813년)’은 가장 대표적인 정보그래픽이다. 굵기가 달라지는 선은 진군과 철수 경로이면서 병력 규모이다. 선의 굵기로 병력의 규모 변화를 짐작할 수 있다. 선 바탕에는 지명이 들어간 지도가 들어가 있고 그 아래에 군대가 후퇴할 당시 기온 변화가 선 그래프로 그려져 있다.

정보그래픽의 매력을 3가지로 요약하면, 첫째, ‘즉각성’이다. 정보그래픽으로 그려진 정보는 즉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에 소통 속도가 빠르다. 둘째, ‘전체성’이다. 정보가 한 공간에 압축되어 있어 한눈에 전체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셋째, ‘평등성’이다. 그림은 말과 글을 몰라도 누구나 쉽고 빠르게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만약 여러분이 나폴레옹의 모스크바 침공 과정을 알기 위해 프랑스어를 배워야 한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다. 하지만 이 그래픽을 알고 있다면 전쟁의 핵심을 쉽게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다.

미국 경영학자 피터 센게는 ‘시스템 사고’를 강조한다. ‘시스템 사고’란 맥락을 파악하는 능력이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고 있어야 자신이 속한 시장과 조직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체를 고려하기에 위기 상황에서 핵심이 무엇인지 금방 파악할 수 있고 적절하게 대응할 수도 있다.

‘정보그래픽’과 ‘시스템 사고’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고 핵심을 끌어낸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이를 삶의 태도로 바꿔 말하면 ‘우리’이다. 한국말에서 ‘우리’란 ‘전체를 고려하는 나’를 뜻한다. 현재 전 세계가 코로나19 위기 대응에 있어 한국을 주목한다. 엄청난 위기에서 한국 사람들이 그나마 잘 버티고 있는 것은 ‘우리’라는 공동체 의식 덕분이 아닐까 싶다. 즉 한국 사람들은 태생적으로 정보그래픽과 시스템 사고에 익숙한 듯하다.


Today`s HOT
캐나다 콘월에서 이루어지는 군사 훈련 러시아의 미사일 공격, 자포리자의 참담한 붕괴 현장 이색 파인애플 피자와 굿즈를 선보인 영국 루파 피자가게 베네수엘라의 1958년 독재 종식 사건 기념 집회
프랑스 에너지 강화 원동력, 태양광 패널과 풍력 터빈 자이언트 판다를 위해 수확되는 대나무들
카스타익에서 일어난 화재, 소방관들이 출동하다. 터키의 호텔 화재 희생자 장례식..
안티오크 학교 총격 사건으로 미국은 추모의 분위기.. 주간 청중에서 산불 겪은 미국을 위로하는 프란치스코 교황 동남아 최초, 태국 동성 결혼 시행 브라질의 더운 날씨, 더위를 식히려는 모습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