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단독]GTX-A 대곡역-운정역 구간에 라돈 다량 검출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단독]GTX-A 대곡역-운정역 구간에 라돈 다량 검출

GTX(광역급행철도)-A 노선 사업 공사 구간인 경기 고양시 대곡역과 파주 운정역 구간에 발암물질인 라돈이 다량 검출된 것으로 4일 확인됐다. 특히 대곡역 구간에선 실내 권고 기준치의 6배를 초과하기도 했다.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이 환경부에서 받은 ‘GTX-A 환경영향평가서 본안’ 자료를 보면, 사업자인 A사가 2018년 9월 대곡역과 운정역 구간의 라돈 현황을 조사한 결과, 고양시 대곡역 구간에선 시간당 평균 22.53~26.87pCi/L가, 파주시 운정역 구간 9.85~9.9pCi/L의 라돈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가 권고하는 실내 라돈 기준치는 4pCi/L이다. 실내 기준으로는 대곡역 구간에선 최대 6배를 초과하는 셈이다. 다만 국내에는 실외 라돈 기준은 마련 돼 있지 않다.

태 의원 측은 “현재는 착공 전이라 실외 지역이지만, 지하철을 착공할 경우 인근 토양에서 라돈이 환풍기를 통해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출처 : 환경부 환경영향평가서 본안,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실 제공

출처 : 환경부 환경영향평가서 본안,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실 제공

A사의 이같은 조사는 앞서 2018년 6~7월 진행된 환경영향평가협의회의 심의 의견에 따른 것이다. 당시 회의에서 환경부 측은 “라돈 저감방안을 검토하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경기도 환경정책과도 환경영향평가 초안을 검토한 후 “환기구가 계획된 지역은 환기구를 통한 라돈 등의 오염물질 배출이 예상된다”며 “그 영향을 예측하고 적절한 저감장치를 통해 정화 후 배출되도록 해야 한다”고 의견을 냈다.

하지만 조사 이후에도 A사는 별다른 저감 대책은 현재까지 마련하지 못한 상태다. A사 측은 “라돈의 경우 현재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이유였다.

태 의원은 “환경부는 국민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라돈 등 발암물질에 대해 GTX-A 사업 구간 전체를 대상으로 정밀조사를 실시해야 한다”며 “조치가 완료될 때까지 범정부차원에서 GTX-A 공사를 일시 중단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