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노래와 세상]때로는 먼지도 노래가 된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노래와 세상]때로는 먼지도 노래가 된다

  • 오광수 시인·대중음악평론가
[노래와 세상]때로는 먼지도 노래가 된다

‘먼지’의 사전적 의미는 ‘가늘고 보드라운 티끌’이다. 하잘것없어 보이는 먼지가 노래의 영역으로 들어오면 의외로 울림이 크다.

“… 내 조그만 공간 속에 추억만 쌓이고/ 까닭 모를 눈물만이 아롱거리네/ 작은 가슴을 모두 모두어/ 시를 써 봐도 모자란 당신/ 먼지가 되어 날아가야지/ 바람에 날려 당신 곁으로.”

이 노래는 음악 프로듀서인 송문상이 명동 쉘브르에서 만난 싱어송라이터 이대헌과 합심해 만들었다. 송씨는 초등학교 때 돌아가신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노랫말에 담았다고 했다. 1976년 발표했지만 큰 반향은 없었다.

다시 세상에 얼굴을 내민 건 1987년 송씨의 아내인 가수 이미키의 앨범에서였다. 그러나 제대로 임자를 만난 건 1991년 함춘호가 편곡해 이윤수가 부르면서였다. <90 창신동, 그리고…>라는 앨범에 수록된 이 노래로 이윤수는 유명해졌다. 원곡자인 이대헌에 따르면 후배 가수인 김광석과 이윤수가 거의 동시에 리메이크 요청을 해왔지만 좀 더 절실했던 이윤수에게 주었다고 했다.

이후 이 노래는 럼블피시, 김종국, 김광석 등에 의해 리메이크됐으며 한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로이킴이 불러 신세대들도 아는 노래가 됐다.

‘먼지’라는 단어가 제목에 들어가 가장 유명해진 곡은 록 그룹 캔자스의 ‘더스트 인 더 윈드’(바람 속의 티끌, 1977)다.

“하늘과 땅 말고는 어느 것도 영원하지 못합니다/ 모두 사라져 버립니다/ 당신의 재산을 다 줘도 시간을 사지 못합니다/ 바람 속의 티끌입니다/ 우리의 존재는 먼지와 같습니다.”

한 시절에 LP가 닳아 없어질 정도로 들으면서 허무주의에 빠진 건 단순히 가사 때문만은 아니었다. 그들의 기타 소리만 들어도 나른해졌던 시절이 있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