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코로나 방역 긴장 속 투표 행렬…서울선 ‘봉인지 훼손’ 경찰 조사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코로나 방역 긴장 속 투표 행렬…서울선 ‘봉인지 훼손’ 경찰 조사

투표 현장 스케치

서울·부산 등 재·보궐 선거 당일인 7일 투표 현장의 민심은 ‘정권 심판’과 ‘국정 지지’로 양분된 모습이었다. 마땅한 후보가 없어 투표를 할지 말지 고민하다가 최악을 피하기 위해 참정권을 행사했다는 사람들도 있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시 늘어나는 가운데 각 투표소에서는 방역을 위해 신경을 곤두세운 모습이었다.

서울 종로구에 사는 김선조씨(59)는 “(박원순 전 시장 성추행 사건을) 잘못했으면 잘못했다고 하면 되지 ‘피해호소인’이라고 피해자를 몰아세우는 사람들은 물러나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같은 지역 주민인 권도경씨(56)는 “(부동산) 정책 집행을 잘못한다고 욕하고 비난하면서 투기를 조장하는 정치세력에게 투표하겠다는 사람들을 보면 착잡하고 아이러니하다”고 말했다. 본인을 ‘통장’이라고 소개한 영등포구 주민 김모씨(80)는 “현 정부가 이번 선거로 정신 좀 차렸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투표를 포기하려다가 선거 당일 마음을 바꿔 기표소에 들어간 사례도 있었다. 마포구의 이모씨(32)는 “서울시를 어떻게 이끌지, 정책은 무엇인지 따져보면서 투표하고 싶은데 참 뽑을 사람이 없다”며 “그럼에도 최악은 피해야 한다는 책임감으로 투표했다”고 말했다. 출근 전 강서구 화곡주민센터에서 투표한 조모씨(37)는 “투표를 포기하려다가 이번 선거가 왜 진행됐는지 고민하다가 선거에 참여했다”고 말했다.

부산의 취업준비생 김모씨(27)는 “오전 내내 공부하다가 집에서 점심을 먹고 산책할 겸 투표하러 나왔다”며 “부산은 청년 유출이 심각한 상황인데 좋은 일자리 정책이 나오면 좋겠다”고 말했다.

각 투표소에서는 코로나19 방역수칙을 지키기 위해 여념이 없었다. 유권자들은 손 소독과 발열 체크를 한 뒤 비닐장갑을 착용해야 했다. 1m 간격으로 바닥에 붙여진 선거인 대기 스티커를 따라 거리두기를 하면서 순서를 기다리느라 줄이 길게 늘어서기도 했다. 영등포장애인복지관의 경우에는 입구와 출구를 따로 만들어 유권자들의 동선이 겹치지 않게 했다.

기초의원 등 재·보선을 한 지방에서는 상대적으로 투표 열기가 높지 않았다. 사흘간 24명이 무더기로 코로나19에 확진된 전남 순천시에서는 도의원 보궐선거 투표율이 인근 지역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울산의 한 투표 안내원은 “지난해 총선 때는 투표소 밖 운동장까지 길게 줄을 섰는데, 오늘은 사람이 가장 몰릴 오전 시간대에도 투표소 입구까지만 줄을 섰다”고 말했다. 일부 직장인들은 어느 투표소에서나 가능했던 사전투표와 혼동해 직장 근처의 투표소를 찾았다가 헛걸음하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경찰은 선거 관련 불법행위 수사에 나섰다. 서울 마포경찰서는 이날 오전 9시35분쯤 마포구 아현동의 한 아파트 투표소에서 투표함에 부착된 특수 봉인지를 떼어낸 혐의(공직선거법 위반)로 50대 남성을 임의동행해 조사했다.

서울 용산경찰서는 온라인 커뮤니티 디씨인사이드에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를 암살하겠다’는 글이 올라와 수사를 벌이고 있다.

닫기
닫기
닫기